라벨이 비밀번호인 게시물 표시

맥북 비밀번호 분실 로그인 초기화 암호 찾는방법 (M4 최신 모델 기준 / 이전 세대 공통)

이미지
 맥북을 사용하다 보면 간혹 비밀번호를 잊어버려 로그인조차 되지 않는 난감한 상황을 겪게 됩니다. 특히 최신 M4 맥북처럼 보안이 한층 강화된 모델은 예전처럼 간단히 비밀번호를 풀 수 없죠.  Mac 재시동부터 복구모드 활용, resetpassword 명령, Apple ID를 이용한 복구, 마지막 수단인 초기화까지  알아보겠습니다. MacOS M4뿐 아니라 M1·M2·인텔 칩을 사용하는 이전 세대 맥북에도 적용할 수 있습니다. 1. 기본 조치 – Mac 재시동하기 가장 먼저 맥을 재시동해봅니다. 전원 버튼을 10초 이상 길게 눌러 완전히 껐다가 다시 켭니다. Touch ID가 있는 모델(M1 이상)은 Touch ID 버튼을 길게 누르면 전원 버튼 역할 을 합니다. 재시동 후 로그인 화면이 표시되면, 평소 사용하던 로그인 암호(Apple ID 암호가 아님)를 입력해보세요. 입력이 계속 틀린다면 caps lock이 켜져 있거나 키보드 언어가 바뀌었을 가능성도 있으니 확인합니다. 2. 로그인 화면에서 바로 재설정 시도 암호 입력란 옆에 물음표(❓) 아이콘이 보인다면 클릭합니다. 화면에 다음 중 하나가 표시될 수 있습니다. 암호 힌트 (설정 시 등록했다면 표시됨) 재설정 메시지 (‘Apple ID로 재설정’, ‘복구 키로 재설정’, ‘재시동 후 옵션 보기’ 등) 메시지가 보인다면 안내에 따라 Apple ID 로그인 혹은 복구 키 입력 을 진행합니다. FileVault(디스크 암호화)가 켜져 있다면 복구 키를 입력해야 하며, 암호를 모두 잊은 경우에는 ‘모든 암호를 잊으셨습니까?’를 클릭해 다음 단계로 넘어갑니다. 3. 복구모드로 진입해 암호 재설정 로그인 화면에서 재설정이 불가능하다면 복구모드(Recovery Mode)를 사용합니다. 모델 구분 복구모드 진입 방법 인텔 맥북 (M1 이전) 전원을 끈 후 Command(⌘) + R 키를 누른 채 전원 켜기 M1 / M2 / M4 맥북 전원을 끄고 전원...

윈도우11 안전모드 암호 비밀번호 오류 복구와 계정 초기화

이미지
Windows 10 안전모드 암호 오류 복구와 계정 초기화 방법 윈도우10을 쓰다 보면 드라이버 충돌이나 프로그램 문제로 안전모드 로 들어가야 할 때가 있다. 그런데 막상 안전모드 로그인 화면에서 비밀번호가 맞지 않거나 계정이 보이지 않으면 한 걸음도 못 나간다. 여기서는 안전모드 암호 오류를 풀고 계정을 복구·초기화하는 현실적인 방법을 차근차근 정리했다. 설치 USB가 있든 없든, 로컬 계정이든 Microsoft 계정이든 지금 상황에서 바로 적용 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안전모드에서 비밀번호 오류가 생기는 흔한 이유 안전모드는 최소 드라이버만 로딩해 문제 원인을 좁히는 환경이다.  이때 계정 정책이 평소와 다르게 적용되거나, 강제 안전모드 플래그가 남아 일반 로그온 경로가 막히기도 한다.  Microsoft 계정 인증 이 필요한데 네트워크가 비활성화된 안전모드로 들어온 경우도 암호 오류처럼 보인다. 간헐적으로는 계정이 비활성화되어 로그인 대상 자체가 숨겨지기도 한다. Microsoft 계정 비밀번호 재설정으로 해결하는 방법 윈도우10을 Microsoft 계정으로 로그인하고 있다면 가장 빠른 해법은 계정 비밀번호 재설정이다.  안전모드(네트워킹 사용)로 부팅해 인터넷을 연결한 뒤 Microsoft 계정 복구 절차 로 새 암호를 만든다.  다시 로그인해보면 안전모드에서도 동일 암호가 적용된다. 네트워크가 안 잡히면 일반 모드로 부팅 가능한 다른 PC나 모바일에서 먼저 암호를 바꾸고 돌아와 시도하면 된다. Windows 설치 USB로 강제 안전모드 플래그 해제 강제 안전모드가 걸려 일반 로그온 루틴으로 못 지나가는 상황이라면 설치 USB가 확실하다.  부팅 순서를 USB로 바꿔 설치 화면까지 진입한 다음 컴퓨터 복구 → 문제 해결 → 고급 옵션 → 명령 프롬프트 로 들어간다.  Windows가 설치된 드라이브 문자로 이동하고 아래 명령으로 안전모드 플래그를 지운다. bcdedit...

윈도우 11 안전모드 부팅·복구모드 진입, 암호 로그인 복구(비번 초기화) & 안전모드 해제

이미지
윈도우 11 안전모드 부팅·복구모드 진입, 암호 로그인 복구(비번 초기화) & 안전모드 해제 문제가 생겼을 때 안전모드(Safe Mode) 로 최소 드라이버만 로드해 원인을 진단하고, 복구모드(고급 시작 옵션) 에서 고급 도구를 열어 수리하는 흐름이 제일 깔끔합니다.  아래에 빠르게 진입하는 법 , 안전모드 이후 비밀번호(암호) 문제 해결 , 그리고 안전모드 해제 까지 순서대로 정리했습니다. 1) 복구모드(고급 시작 옵션)로 진입 팁 · 일부 PC(특히 제조사 로고가 먼저 뜨는 모델)는 전원 켠 직후 F8 연타 로 바로 고급 메뉴로 들어갈 수 있습니다.  만약 되지 않을 땐 Shift+다시 시작 이 가장 확실합니다. 방법 A — F8 시도 PC의 전원을 켜자마자 F8 키를 여러 번 누릅니다. 제조사 로고(예: LG) 이후 Choose an option(옵션 선택) 화면이 보이면 성공입니다. 방법 B — 로그인 화면/데스크톱에서 화면 오른쪽 하단 전원 아이콘 클릭 → Shift 키를 누른 채 다시 시작 클릭 → 재시작 후 옵션 선택 화면으로 진입합니다. 옵션 선택 → Troubleshoot(문제 해결) → 필요에 따라 아래 중 하나를 엽니다. Advanced options(고급 옵션) → Startup Settings(시작 설정) → Restart → 번호키 4 또는 F4 (안전모드) / 5 또는 F5 (네트워크 사용 안전모드) Advanced options → Command Prompt(명령 프롬프트) (로그인/암호 관련 조치가 필요할 때) 2) 안전모드로 부팅 위 시작 설정 에서 재부팅 후 숫자키로 안전모드 를 선택합니다.  네트워크가 필요하면 네트워크 사용 안전모드 를 고릅니다.  화면 네 구석에 “ Safe Mode ” 워터마크가 보이면 정상입니다. 3) 안전모드 이후 암호 로그인 문제 해결 주의 · 아래 레지...

윈도우11 네트워크 자격 증명 오류 완벽 해결: 아이디·비밀번호 입력 기준과 접근 제한 풀기

윈도우11 네트워크 자격 증명 오류 완벽 해결: 아이디·비밀번호 입력 기준과 접근 제한 풀기 회사나 집에서 공유폴더에 접속하려고 하면 “자격 증명을 입력하세요”라는 창이 반복되거나 “사용자 이름 또는 암호가 잘못되었습니다.”가 뜨는 경우가 많습니다.  여기서 핵심은 윈도우11 네트워크 자격 증명 이 어떤 계정을 기준으로 검증되는지 정확히 이해하고, 아이디와 비밀번호 를 어디 기준으로 입력해야 하는지부터 정리하는 것입니다.  우선  윈도우11 네트워크 자격 증명 이 계속 뜰 때의 원인과 해결, 공유폴더 접근 제한을 해제하는 실제 설정, 그리고 현장에서 자주 놓치는 NTFS·SMB·NTLM·보안정책까지 하나하나 짚어보며 오류를 깔끔하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핵심 설정 요약 설정 접근 경로 설명 권장 암호로 보호된 공유 Win+R → control /name Microsoft.NetworkAndSharingCenter → 고급 공유 설정 자격 증명 없이 공유 허용 여부 테스트용 끄기 / 운영은 정책에 맞게 공유 폴더 권한(Share) 폴더 우클릭 → 속성 → 공유 Everyone 추가 후 읽기/쓰기 선택 필요 시에만 Everyone, 운영은 특정 계정 자격 증명 추가/수정/삭제 Win+R → control /name Microsoft.CredentialManager 서버 기준 사용자/암호 저장 및 교체 오류 시 삭제 후 재등록 키체인 초기화 Win+R → rundll32.exe keymgr.dll,KRShowKeyMgr 저장된 네트워크 로그인 전체 정리 충돌 시 초기화 ...

공유폴더 갑작스런 암호 로그인? Guest 계정 설정 팁

이미지
  공유폴더 접속 시 갑자기 암호를 물어본다면? 평소 잘 사용하던 윈도우 공유폴더에서 갑자기 암호 입력 창이 뜬 적이 있나요? 별다른 암호를 설정하지도 않았고, 계정도 그대로인데 갑작스럽게 로그인 인증을 요구한다면 당황스러울 수밖에 없습니다. 대부분 이런 문제는 윈도우의 네트워크 인증 정책, 게스트 계정 설정, 공유 권한 구성 문제 에서 발생합니다. 기본적으로 공유폴더는 네트워크 상의 다른 사용자가 파일에 접근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기능입니다. 하지만 암호 보호 설정이나 게스트 계정 비활성화 , 혹은 보안 권한이 제대로 부여되지 않은 경우 , 예상치 못한 인증 요청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원인 분석 – 왜 갑자기 암호를 묻는가? 암호를 설정한 적이 없는데 갑자기 로그인 정보를 요구하는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해결 1 – Guest 계정 활성화 방법 ① 컴퓨터 관리 콘솔에서 설정 내 PC 우클릭 > 관리 > 컴퓨터 관리(로컬) 좌측에서 시스템 도구 > 로컬 사용자 및 그룹 > 사용자 선택 Guest 계정을 더블 클릭 → ‘계정 사용 안 함’ 체크 해제 적용 후 확인 방법 ② 보안 정책에서 직접 활성화 Windows 키 + R > secpol.msc 입력 후 실행 로컬 정책 > 보안 옵션 → "계정: Guest 계정 상태" 항목 ‘사용 안 함’을 ‘사용’으로 변경 후 저장 ※ 위 기능은 Windows Home 에디션에서는 사용할 수 없으며, 해당 경우에는 net user guest /active:yes 명령어를 관리자 권한 CMD로 실행해도 됩니다. 해결 2 – 암호로 보호된 공유 설정 해제 Guest 계정을 활성화했더라도, 공유 설정에서 암호 보호 기능이 켜져 있다면 접속 시 인증을 요구하게 됩니다. 설정 방법 제어판 > 네트워크 및 공유 센터 > 고급 공유 설정 사용 중인 네트워크 프로필(개인, 공용 등) 선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