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 11 안전모드 부팅·복구모드 진입, 암호 로그인 복구(비번 초기화) & 안전모드 해제

윈도우 11 안전모드 부팅·복구모드 진입, 암호 로그인 복구(비번 초기화) & 안전모드 해제

문제가 생겼을 때 안전모드(Safe Mode)로 최소 드라이버만 로드해 원인을 진단하고, 복구모드(고급 시작 옵션)에서 고급 도구를 열어 수리하는 흐름이 제일 깔끔합니다. 

아래에 빠르게 진입하는 법, 안전모드 이후 비밀번호(암호) 문제 해결, 그리고 안전모드 해제까지 순서대로 정리했습니다.

1) 복구모드(고급 시작 옵션)로 진입

· 일부 PC(특히 제조사 로고가 먼저 뜨는 모델)는 전원 켠 직후 F8 연타로 바로 고급 메뉴로 들어갈 수 있습니다. 



만약 되지 않을 땐 Shift+다시 시작이 가장 확실합니다.

방법 A — F8 시도
PC의 전원을 켜자마자 F8 키를 여러 번 누릅니다. 제조사 로고(예: LG) 이후 Choose an option(옵션 선택) 화면이 보이면 성공입니다.

방법 B — 로그인 화면/데스크톱에서
화면 오른쪽 하단 전원 아이콘 클릭 → Shift 키를 누른 채 다시 시작 클릭 → 재시작 후 옵션 선택 화면으로 진입합니다.

옵션 선택Troubleshoot(문제 해결) → 필요에 따라 아래 중 하나를 엽니다.

  • Advanced options(고급 옵션)Startup Settings(시작 설정)Restart → 번호키 4 또는 F4(안전모드) / 5 또는 F5(네트워크 사용 안전모드)
  • Advanced optionsCommand Prompt(명령 프롬프트) (로그인/암호 관련 조치가 필요할 때)

2) 안전모드로 부팅

시작 설정에서 재부팅 후 숫자키로 안전모드를 선택합니다. 



네트워크가 필요하면 네트워크 사용 안전모드를 고릅니다. 

화면 네 구석에 “Safe Mode” 워터마크가 보이면 정상입니다.

3) 안전모드 이후 암호 로그인 문제 해결

주의 · 아래 레지스트리 편집은 Windows Hello(암호 없는 로그인) 강제가 켜져 암호 입력 칸 자체가 사라진 경우에 유효합니다. 입력을 잘못하면 시스템에 문제가 생길 수 있으니 명령을 정확히 따라 하세요.

암호 입력 칸 복구(Passwordless 해제)

복구모드의 Advanced options → Command Prompt를 열고, 다음을 순서대로 입력합니다. 각 줄 입력 후 Enter를 누르세요.

REG LOAD "HKLM\LoadHive" "C:\Windows\System32\config\SOFTWARE"
REG ADD "HKLM\LoadHive\Microsoft\Windows NT\CurrentVersion\PasswordLess\Device" /v DevicePasswordLessBuildVersion /t REG_DWORD /d 0 /f
REG UNLOAD "HKLM\LoadHive"

그 다음 PC를 재시작합니다. 로그인 화면에 암호 입력 칸이 다시 나타납니다.

로컬 계정 비밀번호 초기화(필요한 경우)

Microsoft 계정(이메일로 로그인)이라면 계정 웹에서 비밀번호 재설정이 표준입니다. 아래 명령은 로컬 계정에만 적용됩니다.

Advanced options → Command Prompt에서 다음 형식으로 입력합니다(예시는 사용자 이름이 user1이고 새 비번이 NewPass!23인 경우):

net user
net user user1 NewPass!23

net user로 정확한 사용자 이름을 먼저 확인한 뒤 두 번째 줄로 비밀번호를 바꾸면 됩니다. 성공 메시지 확인 후 재부팅해 로그인하세요.

4) 안전모드 해제(원래 모드로 되돌리기)

가장 간단 · 안전모드에서 설정 > 시스템 > 복구 > 고급 시작 > 다시 시작고급 옵션에서 시작 설정 재부팅 후 일반 모드(아무 번호도 누르지 않음)로 들어오면 됩니다.

방법 A — 시스템 구성(msconfig)에서 해제

안전모드나 일반 모드 어디서든 Win+Rmsconfig부팅 탭 → 안전 부팅 체크 해제 → 적용 → 재시작.

방법 B — 명령어로 해제(bcdedit)

명령 프롬프트(관리자)에서 다음을 실행합니다.

bcdedit /deletevalue {current} safeboot

메시지 없이 완료되면 재시작하세요.

자주 막히는 지점과 해결 포인트

F8이 안 먹을 때는 펌웨어/부트 속도가 빨라 키 입력 타이밍을 놓친 경우가 많습니다. 이땐 로그인 화면에서 Shift+다시 시작이 가장 안정적입니다. 명령 프롬프트가 계정을 요구하면 해당 계정 비밀번호를 입력해야 열립니다. 모르는 경우 위 로컬 계정 초기화를 먼저 진행합니다. 네트워크 필요한 수리는 ‘네트워크 사용 안전모드’를 고르세요. 드라이버/서비스 충돌이 의심되면 안전모드에서 장치 관리자로 최근 드라이버를 되돌리는 것도 효과적입니다.

마무리 체크리스트

  • 복구모드 진입: F8 또는 Shift+다시 시작
  • 안전모드 선택: 시작 설정에서 4/5
  • 암호 입력 칸 복구: DevicePasswordLessBuildVersion0으로
  • 로컬 계정 비번 초기화: net user 사용자이름 새비번
  • 안전모드 해제: msconfig 또는 bcdedit /deletevalue {current} safeboot

Q&A

안전모드에서 네트워크가 안 됩니다. 어떻게 하나요?

‘네트워크 사용 안전모드’로 들어와야 유선/무선 어댑터가 활성화됩니다. 여전히 안 되면 장치 관리자에서 네트워크 어댑터가 비활성화되어 있지 않은지 확인하세요.

Microsoft 계정인데 비밀번호를 잊었습니다. net user로 바꿀 수 있나요?

아니요. net user는 로컬 계정에만 적용됩니다. Microsoft 계정은 웹에서 재설정 후 PC에서 새 암호로 로그인합니다.

레지스트리 편집 후에도 암호 입력 칸이 안 보여요.

값을 정확히 입력했는지(경로에 Windows NT 공백 포함) 다시 확인하고, 명령 프롬프트 창에서 성공 메시지가 나왔는지 검토하세요. 그래도 안 되면 설정 > 계정 > 로그인 옵션에서 암호 없는 로그인 요구 항목을 끄기로 바꿔보세요.

안전모드가 계속 반복 부팅돼요.

이전 부팅 설정에 safeboot 플래그가 남아있을 수 있습니다. 관리자 권한 명령 프롬프트에서 bcdedit /deletevalue {current} safeboot를 실행하고 재부팅합니다.

F8로는 절대 안 들어가집니다. 고장인가요?

정상입니다. 일부 UEFI 기반 PC는 부팅이 매우 빨라 F8이 동작하지 않습니다. Shift+다시 시작 또는 설정 > 시스템 > 복구 > 고급 시작 경로를 사용하세요.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삼성 제품 시리얼번호로 제조일자 확인하는 방법

📱 아이폰 16 DFU 공장 초기화 및 벽돌 복구 가이드

NX 3D CAD 중량 구하는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