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윈도우11인 게시물 표시

윈도우 11 안전모드 부팅·복구모드 진입, 암호 로그인 복구(비번 초기화) & 안전모드 해제

이미지
윈도우 11 안전모드 부팅·복구모드 진입, 암호 로그인 복구(비번 초기화) & 안전모드 해제 문제가 생겼을 때 안전모드(Safe Mode) 로 최소 드라이버만 로드해 원인을 진단하고, 복구모드(고급 시작 옵션) 에서 고급 도구를 열어 수리하는 흐름이 제일 깔끔합니다.  아래에 빠르게 진입하는 법 , 안전모드 이후 비밀번호(암호) 문제 해결 , 그리고 안전모드 해제 까지 순서대로 정리했습니다. 1) 복구모드(고급 시작 옵션)로 진입 팁 · 일부 PC(특히 제조사 로고가 먼저 뜨는 모델)는 전원 켠 직후 F8 연타 로 바로 고급 메뉴로 들어갈 수 있습니다.  만약 되지 않을 땐 Shift+다시 시작 이 가장 확실합니다. 방법 A — F8 시도 PC의 전원을 켜자마자 F8 키를 여러 번 누릅니다. 제조사 로고(예: LG) 이후 Choose an option(옵션 선택) 화면이 보이면 성공입니다. 방법 B — 로그인 화면/데스크톱에서 화면 오른쪽 하단 전원 아이콘 클릭 → Shift 키를 누른 채 다시 시작 클릭 → 재시작 후 옵션 선택 화면으로 진입합니다. 옵션 선택 → Troubleshoot(문제 해결) → 필요에 따라 아래 중 하나를 엽니다. Advanced options(고급 옵션) → Startup Settings(시작 설정) → Restart → 번호키 4 또는 F4 (안전모드) / 5 또는 F5 (네트워크 사용 안전모드) Advanced options → Command Prompt(명령 프롬프트) (로그인/암호 관련 조치가 필요할 때) 2) 안전모드로 부팅 위 시작 설정 에서 재부팅 후 숫자키로 안전모드 를 선택합니다.  네트워크가 필요하면 네트워크 사용 안전모드 를 고릅니다.  화면 네 구석에 “ Safe Mode ” 워터마크가 보이면 정상입니다. 3) 안전모드 이후 암호 로그인 문제 해결 주의 · 아래 레지...

윈도우11 복구모드·안전모드 모든 진입방법 및 고장 증상별 수리법

이미지
윈도우11을 사용하면서 예기치 않은 오류나 시스템 고장이 발생했을 때 가장 먼저 활용하게 되는 기능이 바로 복구모드와 안전모드 입니다. 특히 최근 NVMe SSD와 빠른 부팅 시스템이 보편화되면서 기존처럼 F8키만으로 진입하는 방식은 더 이상 통하지 않기 때문에 정확한 진입 방법을 미리 알아두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윈도우11 복구모드·안전모드 진입 방법 시스템 구성(msconfig) 활용 가장 쉬운 방법은 시스템 구성 도구 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시작 메뉴 검색창에 ' msconfig '를 입력해 실행하고, '부팅' 탭에서 '안전 부팅'을 체크한 뒤 적용하면 다음 재부팅 시 안전모드로 진입합니다. 초보자도 쉽게 설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고급 시작 옵션을 통한 진입 설정 > 시스템 > 복구 메뉴에서 '지금 다시 시작' 버튼을 클릭하면 고급 시작 화면으로 넘어갑니다. 여기서 문제 해결 → 고급 옵션 → 시작 설정 으로 이동한 후 재부팅을 진행하면 안전모드 선택 화면으로 진입할 수 있습니다.  이때 F4, F5, F6 단축키를 통해 일반·네트워크·명령프롬프트 안전모드를 각각 선택합니다. 전원 버튼 + Shift 활용 부팅 중 윈도우 로고가 나올 때 Shift 키를 누른 채 전원 종료 및 재부팅을 2~3회 반복 하면 복구 모드로 자동 진입합니다. 부팅 속도가 매우 빠른 최신 시스템에서 특히 유용한 방법입니다. 명령프롬프트를 통한 활성화 관리자 권한 CMD 또는 터미널에서 다음 명령어를 실행하면 레거시 부팅 메뉴 가 활성화됩니다: bcdedit /set {default} bootmenupolicy legacy 이후 재부팅 시 F8키를 이용해 복구모드 와 안전모드 선택이 가능합니다. 윈도우11 복구모드·안전모드 주요 기능 기능 설명 드라이버 문제 해결 호환성 문제나 오류를 일으킨 드라이버를 삭제 또는 롤백 가능 악성코드 제거 일부 바이러스는 표...

윈도우11 부팅 비밀번호 초기화 및 로그인 암호 복구 완벽 가이드 (2025 최신)

윈도우11 비밀번호 초기화 및 복구 완벽 가이드 (2025 최신) 윈도우11을 사용하다 보면 부팅 시 로그인 비밀번호가 기억나지 않아 난감해지는 경우가 종종 발생합니다. 특히 로컬 계정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처럼 온라인으로 비밀번호 재설정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별도의 복구 절차가 필요합니다. 윈도우11 비밀번호를 초기화하고 재설정하는 방법을 USB 부팅디스크, 명령프롬프트를 활용하는 복구 방법 중심으로 상세히 정리합니다. 마이크로소프트 계정과 로컬계정 복구 방법의 차이점, 복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오류 사례와 해결책도 함께 살펴봅니다. 마이크로소프트 계정 vs 로컬 계정 차이 윈도우11은 마이크로소프트 계정 기반 로그인과 로컬 계정 로그인을 모두 지원합니다. 마이크로소프트 계정: 온라인에서 패스워드 재설정 가능 로컬 계정: 별도의 복구 절차가 필요 (USB, 명령프롬프트 등 사용) 따라서 복구를 시작하기 전 본인 계정이 어떤 유형인지 먼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USB 부팅디스크 준비 및 설정 비밀번호를 초기화하려면 윈도우 설치 USB 부팅디스크가 필요합니다. 마이크로소프트 공식 홈페이지에서 설치 미디어 생성 도구를 이용해 USB를 제작합니다. 컴퓨터에 USB를 연결한 뒤 BIOS에서 USB가 부팅 1순위가 되도록 설정합니다. 만약 UEFI 모드에서 USB가 인식되지 않는다면 Secure Boot를 해제하고 CSM(호환성 모드)을 활성화합니다. 명령프롬프트 복구 과정 1. 명령프롬프트 실행 USB 부팅 후 윈도우 설치 화면에서 Shift + F10 을 눌러 명령프롬프트(cmd)를 실행합니다. 2. 시스템 드라이브 확인 diskpart list volume exit 명령어를 통해 윈도우가 설치된 드라이브를 확인합니다. 3. 접근성 프로그램 우회 작업 C: cd windows cd system32 ren utilman.exe utilman_bak.exe copy ...

윈도우11, 윈도우10 하드웨어 가속 끄는 방법과 주의할 점

 컴퓨터나 노트북에서 동영상 재생, 화면 캡쳐, 동영상 녹화 등을 시도할 때 화면이 검은색으로 나오는 문제를 겪은 적이 있을 것이다 이럴 때 원인 중 하나가 바로 그래픽카드 성능을 직접 활용하는 '하드웨어 가속' 기능 때문이다 기본적으로 하드웨어 가속은 GPU(그래픽 카드)를 활용해 CPU의 부담을 덜어주고 전체 성능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시스템 호환성 문제나 드라이버 오류, 특정 프로그램과의 충돌로 인해 오히려 화면이 검은색으로 나오거나, 재생 중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럴 때는 하드웨어 가속 기능을 끄고 소프트웨어 기반 처리로 전환하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윈도우11에서는 일부 버전에서 하드웨어 가속 끄기 메뉴가 사라지기도 했는데, 이 경우 별도로 다이렉트X 프로그램을 설치하거나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이용해 수동으로 설정을 변경해야 한다 윈도우10, 윈도우8, 윈도우XP 등 이전 버전에서도 비슷한 방법으로 조정할 수 있다 윈도우10 하드웨어 가속 끄는 방법 디스플레이 설정 → 문제해결 → 하드웨어 가속을 '없음'으로 설정하면 하드웨어 가속을 끌 수 있다 다만 일부 노트북이나 PC에서는 이 메뉴가 비활성화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CPU나 GPU 제조사(AMD, 인텔 등)와 상관없이 수동으로 끄는 작업이 필요하다 윈도우11 하드웨어 가속 끄기 - 레지스트리 편집 검색창에서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하거나 단축키 Ctrl + R → regedit 입력 후 실행 후 아래경로로 이동합니다. 컴퓨터\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GraphicsDrivers 오른쪽 빈 공간에 마우스 우클릭 → 새로 만들기 → DWORD(32비트) 값 선택 이름을 HwSchMode 로 설정 값을 1로 설정하면 하드웨어 가속이 꺼지고, 2로 설정하면 하드웨어 가속이 활성화된다 변경 후 컴퓨터를 재부팅해야 적용된다 ...

윈도우 XP ~ 윈도우11까지 정품 인증 해제 및 제품키 확인 방법

윈도우 XP부터 윈도우11까지 정품 인증 해제 및 제품키 확인 방법 운영체제별로 정품 인증을 확인하고, 제품 키를 등록하거나 해제하는 방법은 조금씩 다릅니다. 그럼 Windows XP, 7, 8.1, 10, 11 까지 각각의 인증 방법, 해제 명령어, 제품 키 확인 방법을 정리했습니다. 1. 윈도우 XP 인증 확인: oobe/msoobe /a 인증 해제: 공식 기능 없음 (wpa.dbl 복사 방식 등) 제품키 변경: 전화 인증 창에서 변경 가능 지원 종료: 2014년 4월 2. 윈도우 7 인증 상태 확인: slmgr /xpr , slmgr /dlv 제품 키 해제: slmgr /upk , slmgr /cpky 새 키 등록: slmgr /ipk 제품키 → slmgr /ato 지원 종료: 2020년 1월 3. 윈도우 8.1 윈도우 7과 동일한 slmgr 명령어 사용 가능 디지털 라이선스 지원 제한적 , 대부분 제품키 기반 지원 종료: 2023년 1월 4. 윈도우 10 / 윈도우 11 디지털 라이선스 방식 지원 , MS 계정과 연동 가능 인증 해제: slmgr /upk , slmgr /cpky 새 키 등록 및 인증: slmgr /ipk 제품키 slmgr /ato 인증 확인: 설정 > 업데이트 및 보안 > 정품 인증 5. 윈도우 설치용 제품키 정리 아래 키는 모두 테스트용 설치 키 로, 정품 인증이 완료되는 키는 아닙니다. Windows ISO 설치 시 사용 가능합니다. 운영체제 설치용 제품 키 Windows XP Professional FCKGW-RHQQ2-YXRKT-8TG6W-2B7Q8 Windows XP Home Edition QW4HD-DVYBW-GQGQM-X3GJD-CRYQH Windows 7 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