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Windows11인 게시물 표시

원드라이브 실행·동기화 안될 때 오류 해결방법 - OneDriver

이미지
원드라이브 실행·동기화 안될 때 오류 해결방법 원드라이브가 갑자기 실행되지 않거나 동기화가 멈추는 경우 초기화, 앱 복구, 그룹 정책, DNS 점검 순서로 접근하면 대부분 해결된다. 조용히 종료되거나 로그인 창이 안 뜨는 문제도 아래 절차로 복구할 수 있다. 빠른 복구 방법 실행창(Win + R)에 아래 입력 후 엔터 %localappdata%\Microsoft\OneDrive\onedrive.exe /reset %localappdata%\Microsoft\OneDrive\onedrive.exe 앱 복구·재설정 설정 → 앱 → Microsoft OneDrive → 고급 옵션 → 복구 → 재설정 그룹 정책 확인(학교/회사 계정 영향 시) Win + R → gpedit.msc 경로 컴퓨터 구성 → 관리 템플릿 → Windows 구성 요소 → OneDrive 파일 저장소로 OneDrive 사용 방지 = 구성 안 함 gpupdate /force DNS 문제 해결 호스트 해석 문제일 때 ipconfig /flushdns 캐시·프로파일 정리 %localappdata%\Microsoft\OneDrive\ C:\ProgramData\Microsoft OneDrive\ 설치 프로그램 재실행 %SystemRoot%\System32\OneDriveSetup.exe 증상별 해결 증상 원인 조치 아이콘 사라짐 캐시 오류 reset 후 실행 로그인창 없음 정책/앱 손상 정책 해제·앱 재설정 업로드 멈춤 DNS/보안 솔루션 flushdns·도메인 허용 특정 폴더만 충돌 권한/경로 꼬임 해당 폴더 동기화 해제 후 재선택 FAQ 로그인해도 오프라인으로 바뀝니다 프록시 간섭. 도메인 예외 추가 후 재로그인. 설치파일 실행해도 반응이 없습니다 스토어 버전 손상. 앱 복구→재설정→Setup 실행. 트레이 아이콘만 안 보입니다 UI만 종료됨. 작업 관리자에서 onedrive 재실행. 개인/업무 폴더가 섞입니다...

윈도우11 리테일 FPP OEM RTM 볼륨 라이선스 총정리 포맷 이전 중고나라

Windows 11 리테일·FPP·OEM·RTM·볼륨 라이선스 총정리: 포맷·이전·중고키까지 현실 같은 Windows 11이라도 리테일(FPP), OEM, RTM, 볼륨(KMS·MAK)처럼 라벨이 달라지면 권리와 제약이 완전히 달라집니다. 컴퓨터를 바꾸거나 메인보드를 교체하고 포맷을 반복해도 되는지, 중고나 초저가 키를 써도 안전한지 궁금하셨다면 핵심만 차근차근 하나하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글은 Windows 11 리테일키 와 FPP , OEM 라이선스 , RTM 키 , KMS/MAK 를 중심으로 정품 인증 , 디지털 라이선스 , 포맷 재설치 , PC 이전 에 관한 실사용 기준을 정리합니다. 라이선스 종류별 핵심 비교 실제로 가장 많이 묻는 부분은 “다른 PC로 옮겨도 되나요?”, “포맷해도 괜찮나요?”, “메인보드 바꾸면 어떻게 되나요?”입니다. 아래 표에서 한눈에 정리해 드립니다. 라이선스 유형 흔한 표기/예시 주 용도 다른 PC로 이전 포맷 후 재설치 메인보드 교체 시 구매/메모 리테일(FPP, 소매) 박스(FPP), Microsoft Store ESD 개인/소규모 가능(기존 장치에서 제거 조건) 가능(동일 장치) 재활성화 필요, MS 계정 연동 시 수월 공인 리테일러/스토어 권장 OEM(사전탑재) 장치 내장 OA3 키 완제품 PC·노트북 불가(첫 메인보드에 귀속) 가능(동일 장치) 대체로 불가/제한 큼 장치와 함께만 유효 볼륨–MAK 기...

윈도우 11 25H2 설치 후기와 핵심 변화 정리

이미지
메인 PC에 Windows 11 25H2를 올려 며칠 써봤다. 릴리스 프리뷰 단계부터 체감되던 반응성 향상이 정식 업데이트에서도 이어진다. 부팅 후 첫 클릭 반응이 가볍고, 엣지나 라이트룸, 프리미어 같은 앱 전환이 한 박자 덜 걸린다. 대기에서 깨어난 직후에도 프리즈가 덜해서 작업 이어붙이기가 편하다. 게임에서 알트탭 왕복할 때도 화면 전환이 깨끗하다. 환경 바꾼 건 없고 OS만 바꿨는데 이런 미세한 차이가 하루 종일 누적되니 꽤 크다 내 장비는 아래와 같다 항목 구성 CPU AMD Ryzen 7 9700X GPU NVIDIA GeForce RTX 3060 Ti RAM DDR5 32GB 6000MHz (Corsair) 스토리지 NVMe SSD 이전 OS Windows 11 23H2에서 25H2로 업그레이드 설치 방법은 ISO로 올렸다. 윈도우 10이 막바지라 도구 호환이 매끈치 않고, 공식 ‘설치 USB 만들기’가 10 환경에서 들쭉날쭉해 ISO가 더 안정적이었다. 프로그램과 설정을 많이 깔아둔 메인 장비라 이번엔 업그레이드 경로를 택했다. 결과적으로 주변장치와 컬러 프로파일, 런처류 설정을 다시 만질 일이 적어 시간을 꽤 아꼈다 내 환경에서 부딪힌 부분도 분명 있었다. 토렌트를 내려받는 중인데도 슬립으로 빠지는 문제는 예전 윈도우 11과 동일하게 재현됐다. 전원 옵션에서 디스플레이 끄기, 하드디스크 절전, 절전 모드를 전부 ‘사용 안 함’으로 바꾸고 네트워크 어댑터 전원 절약을 꺼도 간헐적으로 들어간다.  토렌트 앱의 ‘다운로드 중 시스템 절전 방지’를 켜고, powercfg /requests로 슬립을 막는 프로세스를 확인하니 빈도가 줄었다. 모던 스탠바이(S0)로 잡힌 보드라면 BIOS에서 관련 항목을 만져보는 것도 방법이었다.  구형 공유기의 간이 NAS는 탐색기에서 더 이상 바로 뜨지 않는다. SMB1이 보안상 막히면서 생기는 현상이라 억지로 되살리기보단 장비 펌웨어에서 SMB2 이상을 켜거나, FTP/HTTP 파일 서버로 우...
이미지
Windows 11 바탕화면 '이 그림에 대해 알아보세요' 아이콘 숨기는 방법 Windows 11에서는 잠금 화면에서만 제공되던 ‘Windows 추천(Spotlight)’ 배경화면 기능을 이제 바탕화면에서도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매일 새롭게 바뀌는 고화질 이미지 덕분에 바탕화면을 생동감 있게 꾸밀 수 있다는 점에서 많은 사용자들이 이 기능을 활용하고 있죠. 그런데 이 기능을 사용하면 바탕화면 한쪽에 ‘이 그림에 대해 알아보세요’ 라는 아이콘이 자동으로 생깁니다.  이 아이콘을 통해 현재 배경 이미지의 정보를 확인하거나 다음 배경으로 넘기는 등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지만, 바탕화면을 깔끔하게 유지하고 싶은 사용자 입장에서는 다소 불편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이 아이콘은 기본 설정에서는 제거할 수 없지만,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활용하면 숨기는 것이 가능 합니다.  다만, 레지스트리 편집은 시스템 설정을 직접 수정하는 작업이므로 잘못된 수정 시 시스템에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아래 방법을 따라하기 전에 반드시 레지스트리 백업 을 진행해 주세요. Windows Spotlight 아이콘 숨기기 방법 레지스트리 편집기 실행 키보드에서 Win + R 키를 누르고 regedit 입력 후 Enter 키를 눌러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합니다. 경로 이동 레지스트리 편집기 상단 주소창에 다음 경로를 복사해 붙여넣고 Enter 키를 눌러 이동합니다. 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Explorer\HideDesktopIcons\NewStartPanel DWORD(32비트) 값 생성 왼쪽에서 NewStartPanel 폴더를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하고 [새로 만들기] > [DWORD(32비트) 값] 을 선택합니다. 값 이름 설정 새로 생성된 항목의 이름을 아래처럼 입력합니다. {2cc5ca98-6485-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