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9100 Pro 8TB, ‘용량이 성능’인 시대의 킹일까? P51 1TB·960 Pro와 실제 체감

 

삼성 9100 Pro 8TB, ‘용량이 성능’인 시대의 킹일까? P51 1TB·960 Pro와 실제 체감 기준으로 비교해봤습니다

메인 저장장치로는 SK하이닉스 플래티넘 P51 1TB를, 서브로는 오래 함께한 삼성 960 Pro 1TB를 쓰고 있습니다. 최근 등장한 삼성 9100 Pro 8TB는 제가 쓰는 구성과는 결이 다릅니다. 

단순히 빠른 SSD가 아니라, PCIe 5.0 세대에서 ‘8TB’라는 압도적 용량을 순정 스펙 그대로 뽑아내는 하이엔드 드라이브죠. 


삼성 9100 Pro 8TB는 순차 읽기 14,800MB/s, 쓰기 13,400MB/s에 랜덤 2.2M/2.6M IOPS라는 공격적인 스펙을 갖고 있습니다. 컨트롤러는 삼성의 5nm 공정 ‘Presto’(8채널, Cortex-R8 5코어)이고, 236단 V8 TLC, 8GB LPDDR4X DRAM이 붙습니다.

흥미로운 포인트는 삼성 소비자용 NVMe로는 처음 쓰는 2280 더블사이드 설계라서 8TB 밀도를 M.2에 억지로가 아니라 ‘정석’으로 우겨 넣었다는 점입니다. 


가격은 기본 $999.99, 방열판 버전 $1,019.99로 공시되었고, 삼성 공식 스토어에서 프리오더가 시작됐습니다. 이 세부들은 톰스하드웨어, 삼성 뉴스룸, TweakTown의 리뷰에서 동일하게 확인됩니다. Tom's HardwareSamsung Newsroom+1TweakTown

실사용에서 중요한 건 ‘8TB라서 느려지지 않느냐’인데, 동일 세대 4TB 대비 일부 워크로드에선 미세하게 뒤쳐지지만, 순차 읽기 같은 영역에선 오히려 더 높은 수치가 관측됩니다. 대용량 전송, 압축 해제, 프로젝트/에셋 로딩 같은 ‘읽기 지향’ 작업에선 왕좌에 걸맞은 체감이 나옵니다. 

다만 PS5 확장 슬롯에서의 순차 읽기 점수는 PCIe 4.0 일부 모델보다 낮게 나오는 경향이 있어, 콘솔 특화 튜닝은 아주 공격적이지 않습니다. TweakTown

전력과 발열은 하이엔드답습니다. 유휴는 이전 4TB 대비 최대 51%, 동작 중 읽기 기준 약 17% 더 먹는 편이라 노트북보다는 데스크톱, 혹은 PS5처럼 방열판/에어플로우 전제가 있는 환경이 어울립니다. 그 대신 8TB 모델의 내구성은 4TB의 두 배인 4,800TBW로 올라 안정성 측면에서 여유가 큽니다. Tom's Hardware

아래는 제가 쓰는 SK하이닉스 P51 1TB, 서브인 삼성 960 Pro 1TB와의 핵심 스펙 비교입니다. 표 안 수치는 각 제품 공식 자료 및 주요 리뷰의 정리값입니다.

항목Samsung 9100 Pro 8TBSK hynix Platinum P51 1TBSamsung 960 Pro 1TB
인터페이스/규격PCIe 5.0 x4, NVMe 2.x / M.2 2280 더블사이드PCIe 5.0 x4, NVMe / M.2 2280 싱글사이드PCIe 3.0 x4, NVMe 1.2 / M.2 2280
컨트롤러/DRAMSamsung Presto 8채널, 5nm / 8GB LPDDR4XSK hynix Alistar Gen5(ACNT093) / LPDDR4 DRAMSamsung Polaris / 1GB LPDDR3
낸드Samsung V8 236-L TLCSK hynix 238-L 3D TLCSamsung V-NAND(MLC)
순차 읽기/쓰기최대 14,800 / 13,400 MB/s최대 14,700 / 13,400 MB/s최대 3,500 / 2,100 MB/s
랜덤 읽기/쓰기최대 2,200K / 2,600K IOPS최대 2,300K / 2,400K IOPS최대 440K / 360K IOPS
내구성(TBW)4,800 TBW(8TB)600 TBW(1TB, 리뷰 기준)800 TBW(1TB)
보증5년5년5년
참고가$999.99 / $1,019.99(방열판)$169.99(출시가, 1TB)단종(재고가 변동)

출처: 9100 Pro 스펙·가격·컨트롤러·낸드 및 내구성은 삼성/미디어 발표, 리뷰 기준. P51 스펙과 가격은 StorageReview·톰스하드웨어·판매 페이지 종합. 960 Pro 수치는 삼성 공식 데이터시트 기준. Tom's Hardware+1Samsung Newsroom+1TweakTownStorageReview.com+1아마존Samsung

제가 쓰는 SK하이닉스 P51 1TB는 읽기 14.7GB/s, 쓰기 13.4GB/s로 ‘속도 체감’만 보면 9100 Pro와 동세대 최고권에 있습니다. 다만 용량이 1TB인 만큼, 8TB 9100 Pro처럼 게임·프로젝트·프록시 파일을 한 군데 몰아넣고도 남는 여지는 없습니다. 



반대로, 작은 워크셋을 반복 로딩하는 개발·디자인 작업에서는 P51만으로도 충분히 쾌적합니다. 가격도 1TB 기준 10만원대 후반(미국 MSRP $169.99)부터 시작해 접근성이 훨씬 좋습니다. StorageReview.com

서브로 쓰는 삼성 960 Pro 1TB는 지금 시점에선 ‘정서적 신뢰’가 큰 드라이브입니다. PCIe 3.0 세대지만 당시엔 최상위였고, 1TB 기준 800TBW 보증으로 아카이빙·문서 보관용 서브에 잘 맞습니다. 최신 #PCIe5SSD 을 쓰는 메인 옆에 #삼성960Pro 를 콜드 스토리지처럼 붙여두면, 빠른 작업 드라이브와 안전한 보관 드라이브의 역할 분담이 깔끔해집니다. Samsung

삼성 9100 Pro 8TB의 PS5 적합성은 기준점 5,500MB/s를 넉넉히 통과하지만, 콘솔 내 표시되는 순차 읽기 점수는 PCIe 4.0의 일부 튜닝형 모델보다 낮게 측정되는 사례가 보고됩니다. 콘솔에선 ‘최고 수치’보다는 ‘높은 용량+안정 발열’ 조합의 이점이 더 크게 체감된다는 쪽에 한 표입니다. 방열판 버전이 +$20이면 심리적 보험으로 충분히 선택 가치가 있습니다. 

실무 관점에서의 체감 차이도 정리해 보겠습니다.

상황체감 추천
4K/8K 영상 편집, UE/Unity 프로젝트, 대형 LFS 리포지토리와 수십 만 파일 단위 전송을 반복9100 Pro 8TB가 ‘한 드라이브에 다 넣는’ 전략을 가능하게 합니다. 대용량 읽기·풀스캔·캐시 리빌드에서 시간을 벌 수 있습니다. TweakTown
PS5 라이브러리를 한 번에 담고 싶을 때성능 수치보다 ‘용량이 주는 편안함’이 압도적입니다. 방열판 버전 권장. Tom's Hardware
코드·디자인 리소스 중심의 데스크톱 작업, 자주 쓰는 워크셋이 수십 GB 수준P51 1TB로도 충분히 민첩합니다. 업그레이드는 용량 부족을 체감할 때가 분기점입니다. StorageReview.com
오래된 프로젝트·레퍼런스·문서 보관960 Pro 1TB는 여전히 안정적인 서브. TBW 800TBW 보증으로 마음이 편합니다. Samsung

마지막으로 ‘누구에게 추천하느냐’를 제 경험으로 정리하면, #삼성9100Pro 8TB는 워크스테이션·하이엔드 게이머·콘솔 대용량 수요처럼 “한 드라이브로 끝내고 싶다”는 사람에게 가장 잘 맞습니다.

 #SK하이닉스P51 1TB는 제 메인처럼 “빠른 로딩과 합리적인 가격”의 균형을 원하는 사용자에게 여전히 베스트 초이스입니다. 

#삼성960Pro 는 체급은 낮아도 신뢰성 좋은 보조 저장장치로 가성비가 나옵니다. 발열과 소비전력은 9100 Pro 쪽이 높은 편이니, 데스크톱·콘솔 환경에서 방열 세팅과 함께 쓰는 그림을 추천합니다. 가격은 분명 부담이지만, 8TB PCIe 5.0 M.2가 현실화된 지금 ‘용량이 곧 성능’이라는 단순한 명제를 체감하고 싶은 분이라면 한 번쯤 심장이 흔들릴 모델입니다. 


Q. 9100 Pro 8TB는 4TB보다 무조건 빠른가요?

아닙니다. 공식 스펙은 동일하지만 실제 벤치마크에서 8TB가 일부 항목에서 약간 낮게 나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반대로 순차 읽기처럼 8TB가 더 높은 수치가 관측된 테스트도 있습니다. 체감은 작업 성격, 특히 ‘읽기 위주’인지 ‘쓰기 위주’인지에 따라 달라집니다. TweakTown

Q. PS5에 쓰면 표시 속도가 낮게 나오는데 문제 있나요?

권장 기준(5,500MB/s)은 여유 있게 통과하고, 로딩 체감도 충분합니다. 다만 펌웨어/튜닝 특성상 표시 수치가 낮게 보일 수 있습니다. 콘솔은 연속 쓰기보다 읽기 안정성과 온도가 중요하니, 방열판 버전을 권합니다. TweakTownTom's Hardware

Q. 제 P51 1TB에서 9100 Pro 8TB로 넘어가면 얻는 건 뭐죠?

동세대 최고 수준의 순차 성능 자체보다는 ‘작업·게임·애셋을 한 드라이브에 몰아넣을 수 있는 여유’가 가장 큽니다. 프로젝트 전환과 데이터 관리가 단순해지고, 읽기 지향 워크로드에서 체감 이득이 큽니다. 가격과 전력·발열을 감수할 수 있다면 업그레이드 명분이 됩니다. StorageReview.comTweakTown

참고·출처
삼성 9100 Pro 8TB 가격/사양·전력·낸드·컨트롤러: 삼성 뉴스룸·톰스하드웨어·StorageReview·TweakTown 리뷰. PS5 측정 경향: TweakTown. P51 1TB 사양/가격: StorageReview·톰스하드웨어·판매 페이지. 960 Pro 1TB TBW/스펙: 삼성 공식 페이지/데이터시트. Samsung NewsroomTom's Hardware+1StorageReview.com+1TweakTown아마존Samsung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삼성 제품 시리얼번호로 제조일자 확인하는 방법

📱 아이폰 16 DFU 공장 초기화 및 벽돌 복구 가이드

NX 3D CAD 중량 구하는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