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11 윈도우10 RTM KMS 홈, 프로 교육용 정품인증 제품키 정리

Windows를 즉시 정품 인증하지 않고 테스트하거나 설치하고 싶으신가요? Windows 10 및 11 버전용 일반 RTM, OEM, KMS 클라이언트 제품 키는 다음과 같습니다. Windows 11 RTM 일반 키 윈도우 버전 제품 키 윈도우 11 홈 YTMG3-N6DKC-DKB77-7M9GH-8HVX7 윈도우 11 프로 VK7JG-NPHTM-C97JM-9MPGT-3V66T 윈도우 11 교육 YNMGQ-8RYV3-4PGQ3-C8XTP-7CFBY 윈도우 11 엔터프라이즈 XGVPP-NMH47-7TTHJ-W3FW7-8HV2C Windows 11 KMS 클라이언트 제품 키 윈도우 버전 제품 키 윈도우 11 홈 TX9XD-98N7V-6WMQ6-BX7FG-H8Q99 윈도우 11 프로 W269N-WFGWX-YVC9B-4J6C9-T83GX 윈도우 11 엔터프라이즈 NPPR9-FWDCX-D2C8J-H872K-2YT43 Windows 10 기본 제품 키 윈도우 버전 제품 키 윈도우 10 홈 46J3N-RY6B3-BJFDY-VBFT9-V22HG 윈도우 10 프로 RHGJR-N7FVY-Q3B8F-KBQ6V-46YP4 윈도우 10 교육 YNMGQ-8RYV3-4PGQ3-C8XTP-7CFBY 윈도우 10 엔터프라이즈 XGVPP-NMH47-7TTHJ-W3FW7-8HV2C Windows 10 KMS 클라이언트 제품 키 윈도우 버전 제품 키 윈도우 10 홈 TX9XD-98N7V-6WMQ6-BX7FG-H8Q99 윈도우 10 프로 W269N-WFGWX-YVC9B-4J6C9-T83GX 윈도우 10 엔터프라이즈 NPPR9-FWDCX-D2C8J-H872K-2YT43 Windows 11 RTM 일반 키 윈도우 버전 제품 키 윈도우 11 홈 YTMG3-N6DKC-DKB77-7M9GH-8HVX7 윈도우 11 홈 N 4CPRK-NM3K3-X6XXQ-RXX86-WXCHW Windows 11 Home 단일 언어 BT79Q-G7N6G-PGBYW-4YWX6-6F4BT Windows 11 홈 국가별 N2434-X...

2025 최신 | Windows 10·11 RTM·KMS 기본키 정리와 정품 전환 가이드

2025 최신 | Windows 10·11 RTM·KMS 기본키 정리와 정품 전환 가이드 2025 최신 | Windows 10·11 RTM·KMS 기본키 정리와 정품 전환 가이드 업데이트: 2025-10-30 · Windows 11 보급 확대로 혼동하기 쉬운 RTM·OEM·KMS 차이를 간단히 정리하고, 테스트 설치 후 정품 전환 방법까지 담았습니다. 윈도우를 새로 설치하거나 장비 테스트가 필요할 때는 정품 라이선스를 바로 구매하지 않아도 설치가 가능한 공개 기본 키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 키들은 Microsoft에서 제공하는 평가·설치용 키로, 설치를 빠르게 마치고 드라이버나 환경을 검증하기에 적합합니다. 실제 상시 사용을 위해서는 이후에 정품 라이선스를 적용해 인증을 완료하면 됩니다. 최근에는 Windows 11 전환과 함께 RTM 키와 KMS 클라이언트 키를 혼동하는 경우가 잦습니다. 두 방식은 목적과 인증 절차가 다르며, 설치를 위한 평가 단계와 정식 사용 단계의 개념을 나눠 이해해 두면 정품 전환 과정이 한결 수월해집니다. 아래 표에서 라이선스 유형별 차이를 한눈에 정리하고, 이어서 실제 전환에 필요한 핵심만 간단히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라이선스 종류별 차이 한눈에 보기 라이선스 종류 설치 가능 여부 인증 방식 사용 환경 키 특징 재인증 / 이동 RTM(일반 설치 키) 가능 (설치·평가용) 정품 인증과 별개 누구나 Microsoft 공개 설치 키, 테...

KMS Autonet / KMSLite 같은 툴이 25H2에서 더 잘 막히는 이유

이미지
 인터넷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KMS Autonet , KMSLite , KMS_VL_ALL 같은 프로그램은 사실상 기업용 KMS 서버를 흉내 내는 가짜 인증 방식 이기 때문에 25H2부터는 거의 전부 차단 대상이 되고 있습니다. 이 방식은 PC 안에 “임시 KMS 서버”를 만들어 놓고, 윈도우가 정기적으로 인증을 재확인할 때 해당 서버와 통신하는 것처럼 속이는 구조라서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인증 주기를 짧게 바꾸자마자 대거 무효 처리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여기서 문제는 단순히 “인증이 풀린다” 수준이 아니라, 내부적으로 네트워크 서비스·호스트 파일·레지스트리까지 건드려서 나중에 정상적인 정품키를 입력해도 인증 경로가 꼬여버릴 수 있다는 점이에요. 그래서 25H2로 올라오면서 일부 사용자들은 인증이 풀린 뒤 정식키를 넣어도 오류가 계속 발생하는데, 이런 숨은 원인이 대부분 과거 KMS 인증 흔적 때문인 경우가 많습니다. 이걸 제거하려면 결국 포맷 + 클린설치 말곤 답이 없는 이유도 이 때문입니다. 또 하나 큰 리스크는, KMS 인증 툴들 대부분이 압축 해제 또는 실행 시 윈도우 보안 → 감시 예외 추가 를 요구하는데, 이 과정에서 백도어나 원치 않는 서비스가 들어올 가능성이 높아 Microsoft에서 인증 차단뿐 아니라 보안 측정 기준까지 더 강화 해버린 상태입니다. (이번 25H2 보안 주기 변경이 유독 크게 체감되는 배경도 이 변화와 연결됩니다) 결국 25H2에서는 항목 과거 (23H2 이하) 현재 (25H2) 인증 확인 주기 느림 (거의 방치) 매우 짧아짐 (주기적 재검사) KMS 인증 유지 대부분 유지됨 거의 전부 차단 인증 실패 시 ‘경고’ 수준 인증 자체 제거 + 서비스 무효 과거 흔적 영향 작음 정품키 적용에도 충돌 즉, 단순히 인증 툴 차단이 아니라 25H2부터 인증 경로 정합성까지 검사 대상 이 되면서 KMS 기반 인증은 구조적으로 더 이상 유지가 어렵게 된 셈입니다.

윈도우11 25H2 업데이트 이후 인증이 풀려서 결국 일단 정품인증 없이 사용하는 이유

 25H2 업데이트 이후 인터넷에서 구해 두었던 기존 제품키 인증이 풀리면서 왜 이런 일이 생겼는지 찾아보니 단순히 값싼 키라서가 아니라 기업용 볼륨라이선스 키를 개인 환경에서 쓰는 방식이 이번 업데이트로 제대로 차단된 것이 원인이더라구요.  예전까지는 마이크로소프트의 인증 서버가 한 번만 통과해도 그냥 넘어갔지만 지금은 주기적으로 서버에서 정식 여부를 다시 확인하기 때문에 더 이상 회색지대 키는 유지가 되지 않습니다. 그렇다고 인증이 풀린 상태라고 해서 당장 사용 자체가 막히는 것은 아니라 지금은 일단 미인증 상태로 두고 쓰고 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 공식 답변에서도 ‘설치 자체는 합법 / 구매하지 않은 키로 인증하는 행위가 불법’이라고 되어 있기 때문에 인증 없이 체험판으로 사용하는 건 법적으로 문제가 되는 영역이 아닙니다.  다만 개인화 기능 일부 제한, 바탕화면 워터마크 표시, 대규모 기능 업데이트 지연 같은 제약은 따라오게 되죠. 이번 업데이트에서 느낀 부분이 또 하나 있는데, 정품 인증 문제 말고도 25H2 자체가 아직까지는 완성도가 높지 않다는 점입니다.  윈도우11 25h2로 업데이트 이후 갑작스러운 프리징, 특정 앱에서 멈춤 현상, 호환성 충돌 같은 문제가 꾸준히 발생하면서 결국 포맷까지 진행하게 됐습니다.  그래서 c드라이브를 포맷하고 새로 설치한 뒤에는 일단 사용하는 데 문제는 없지만 누적 패치가 충분히 쌓이지 않은 상황이라 체감 안정성이 생각보다 떨어지는 편입니다.  만약 지금 상태에서 인증까지 막혀 있다면, 굳이 25H2를 버티고 쓸 이유가 없는 것도 사실입니다. 저처럼 이미 설치까지 해 둬서 그냥 유지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구버전(23H2나 22H2)로 설치해서 안정적으로 사용하는 것도 선택지입니다. 업데이트만 하지 않아도 인증이 풀리지 않는 키들이 아직 살아 있는 경우가 많고 호환성도 상대적으로 안정적입니다.  새 버전이 좋다는 기대감 때문에 무조건 업그레이드...

아이폰 애플페이 K패스 연동 및 결제 추가 혜택 총정리

이미지
 아이폰에도 드디어 교통카드 선택지가 넓어지면서 애플페이로 K패스를 쓸 수 있게 됐다는 소식이 올라오자마자 실제로 바로 등록해서 며칠 사용해봤는데 생각보다 과정이 길지는 않았습니다.  애플페이에 교통카드를 추가해서 쓰는 건 익숙해도 K패스를 연동하려면 모바일티머니가 필요하다는 점이 헷갈릴 수 있는데, 이 부분만 이해하면 오히려 혜택은 예전보다 더 좋아지는 게 포인트였습니다.  예전엔 실물카드 기반으로 K패스를 쓰는 분들이 많았지만 지금은 모바일티머니에 K패스를 얹고 애플페이에서 교통카드처럼 쓰는 방식이라 실물 없이도 바로 태깅이 가능해지고, 거기에 모바일티머니 전용 적립까지 더해져서 체감 혜택이 확실히 커졌습니다. 먼저 모바일티머니 발급이 선행돼야 애플페이에서 K패스를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모바일티머니는 기본적으로 선불형이라 충전 후 이용하는 방식이고, 충전해둔 잔액에서 K패스 이용 요금이 빠져나가는 구조라서 예전 카드 자동출금 방식과는 느낌이 조금 다릅니다.  대신 선불형이라 충전 타이밍만 잘 관리하면 아이폰 교통카드처럼 바로 통과되고, 애플페이에서 익스프레스 모드를 적용하면 잠금해제 없이 인식돼 훨씬 편해집니다.  특히 지갑을 따로 꺼낼 필요가 없으니 교통 이용 환경만 보면 모바일티머니 기반 K패스가 실사용 측면에서 꽤 큰 장점이 느껴집니다. 모바일티머니를 발급한 다음 케이패스 앱에서 기존 카드 대신 모바일티머니를 교통카드로 지정해 주는 과정이 필요한데, 이 단계에서 대부분 “카드 추가만 하면 바로 끝인가?”  하고 넘기다가 실제 적용이 안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케이패스 앱 오른쪽 상단 메뉴에서 내 카드 → 카드 변경 및 이력 → 유효성 체크 단계까지 거쳐야 실제로 오늘 날짜로 등록이 갱신되며, 이렇게 해야 애플페이에서도 K패스 요금제가 정상 인식됩니다.  이때 애플페이에 추가한 아이폰 교통카드 가 모바일티머니인지 다시 한번 확인해 두면 알림 누락이나 충전 오류를 미리...

디스플레이 픽셀 고정 vs 픽셀 사망, A/S 정책이 달라지는 이유

 디스플레이에서 가장 자주 발생하는 오류 중 하나가 ‘불량화소’다. 하지만 화면에 점이 하나 보인다고 해서 모두 같은 결함으로 취급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사에서는 이를 두 가지로 구분하며, 그 구분이 곧 A/S 결과에도 직결된다.  흔히 말하는 픽셀 고정(스턱픽셀) 과 픽셀 사망(데드픽셀) 이 바로 그것이다. 두 증상은 사용자 눈에는 비슷하게 보이지만, 내부적으로는 원인과 회복 가능성이 완전히 다르기 때문에 교환·무상수리 기준 역시 달라진다. 스턱픽셀은 픽셀이 한 가지 색상으로 ‘고정’된 상태다. 즉, 회로가 끊어진 것이 아니라 특정 신호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오류다.  다시 말해 픽셀 자체는 여전히 살아 있고, 신호만 비정상적으로 고정된 상태이기 때문에 일부 경우에는 소프트웨어 교정이나 빠른 주파수 빛 반응으로 회복되기도 한다. 대표적으로 JScreenFix, Dead Pixel Fixer 같은 HTML5 기반 픽셀 리프레시가 가능한 이유도 바로 이 원리 때문이다. 스마트폰에서도 비슷한 방식으로 깜빡임 기반 픽셀 교정 앱이 제공된다. 스턱픽셀은 “부분적 이상”이기 때문에 제조사 정책에서도 불량 인정 범위가 좁다. 반대로 데드픽셀은 회로가 완전히 단선되었거나, 발광 셀이 손상된 상태다. 이 경우 화면상에서 픽셀은 아예 꺼져 있으며, 어떤 신호를 보내도 바뀌지 않는다.  복구 가능성 자체가 없는 ‘물리적 사망’이기 때문에 자가 해결이나 픽셀 마사지 같은 방법으로는 되살릴 수 없다. 그래서 데드픽셀은 대부분의 제조사가 불량으로 인정하며 초기 교환 보증도 더 유연하게 적용한다. 간단히 말해 스턱픽셀은 고칠 수 있는 문제지만, 데드픽셀은 고칠 수 없기 때문에 A/S 정책이 다르게 적용되는 것이다. 이 차이는 모니터와 스마트폰 정책에도 그대로 반영된다.  예를 들어 모니터에서는 패널 교체 비용이 높기 때문에 스턱픽셀은 개수 기준 또는 특정 영역 발생 여부로만 교품을 허용한다. 반면 데드픽셀은 1개만 있어도 대부분 교...

픽셀 고정 vs 픽셀 사망, A/S 정책이 달라지는 이유

  모니터나 스마트폰 화면에 아주 작은 점이 남아 있는 것을 보게 되면 대부분 ‘불량화소’로 생각합니다. 하지만 제조사에서는 이 문제를 두 가지로 나누어 다르게 판단합니다. 바로 픽셀 고정(스턱픽셀) 과 픽셀 사망(데드픽셀) 입니다.  둘 다 화면에 점이 생긴다는 점에서는 같지만, 동작 원리와 교환 가능 여부에서 큰 차이가 있기 때문에 실제 A/S 정책도 달라질 수밖에 없습니다. 참고 : 카메라 불량화소 검사 죽은픽셀 핫픽셀 차이점 및 수리방법 참고 : 아이폰 아이패드 불량화소 액정 빛샘 잔상 테스트 픽셀 고정은 회로가 정상적으로 살아 있으나 특정 색 신호가 그대로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는 상태입니다.  예를 들어 화면을 움직여도 항상 초록색이나 빨간색으로만 빛나는 점이 하나 보이는 경우가 대표적입니다. 이 유형은 패널 내부 소자 연결이 끊어진 것이 아니어서, 신호 교정이나 간단한 자극으로 개선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래서 제조사 입장에서는 ‘치유 가능 영역’으로 분류되며 대부분 교품 기준이 더 엄격하거나, 아예 불량으로 인정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반면 픽셀 사망은 회로 단선이나 발광 소자의 손상이 이미 고정되어 신호를 보내도 반응하지 않는 상태입니다.  화면상에서는 검은 점으로 고정되어 보이거나, 주변 밝기에 상관없이 아예 꺼진 것처럼 나타납니다. 이 경우는 사용자 자가복구가 불가능하고 패널 일부 수리가 아닌 패널 단위 교체가 필요하기 때문에 제조사도 ‘결함’으로 인정합니다.  그래서 데드픽셀은 상대적으로 교환 기준이 느슨하게 설정되어 있고, 대부분 브랜드에서 1개만 발견되어도 교품을 진행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A/S 정책이 달라지는 이유는 단순한 스펙 문제가 아니라 원인 자체가 “복구 가능한 고장인가, 물리적 단선인가”의 차이 이기 때문입니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두 점 모두 똑같이 불편하지만, 제조사 기준에서는 수리 방식과 비용 구조가 달라지기 때문에 처리 기준 역시 달라지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