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윈도우업데이트인 게시물 표시

2025 최신 | Windows 10·11 RTM·KMS 기본키 정리와 정품 전환 가이드

2025 최신 | Windows 10·11 RTM·KMS 기본키 정리와 정품 전환 가이드 2025 최신 | Windows 10·11 RTM·KMS 기본키 정리와 정품 전환 가이드 업데이트: 2025-10-30 · Windows 11 보급 확대로 혼동하기 쉬운 RTM·OEM·KMS 차이를 간단히 정리하고, 테스트 설치 후 정품 전환 방법까지 담았습니다. 윈도우를 새로 설치하거나 장비 테스트가 필요할 때는 정품 라이선스를 바로 구매하지 않아도 설치가 가능한 공개 기본 키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 키들은 Microsoft에서 제공하는 평가·설치용 키로, 설치를 빠르게 마치고 드라이버나 환경을 검증하기에 적합합니다. 실제 상시 사용을 위해서는 이후에 정품 라이선스를 적용해 인증을 완료하면 됩니다. 최근에는 Windows 11 전환과 함께 RTM 키와 KMS 클라이언트 키를 혼동하는 경우가 잦습니다. 두 방식은 목적과 인증 절차가 다르며, 설치를 위한 평가 단계와 정식 사용 단계의 개념을 나눠 이해해 두면 정품 전환 과정이 한결 수월해집니다. 아래 표에서 라이선스 유형별 차이를 한눈에 정리하고, 이어서 실제 전환에 필요한 핵심만 간단히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라이선스 종류별 차이 한눈에 보기 라이선스 종류 설치 가능 여부 인증 방식 사용 환경 키 특징 재인증 / 이동 RTM(일반 설치 키) 가능 (설치·평가용) 정품 인증과 별개 누구나 Microsoft 공개 설치 키, 테...

윈도우 11 25H2 설치 후기와 핵심 변화 정리

이미지
메인 PC에 Windows 11 25H2를 올려 며칠 써봤다. 릴리스 프리뷰 단계부터 체감되던 반응성 향상이 정식 업데이트에서도 이어진다. 부팅 후 첫 클릭 반응이 가볍고, 엣지나 라이트룸, 프리미어 같은 앱 전환이 한 박자 덜 걸린다. 대기에서 깨어난 직후에도 프리즈가 덜해서 작업 이어붙이기가 편하다. 게임에서 알트탭 왕복할 때도 화면 전환이 깨끗하다. 환경 바꾼 건 없고 OS만 바꿨는데 이런 미세한 차이가 하루 종일 누적되니 꽤 크다 내 장비는 아래와 같다 항목 구성 CPU AMD Ryzen 7 9700X GPU NVIDIA GeForce RTX 3060 Ti RAM DDR5 32GB 6000MHz (Corsair) 스토리지 NVMe SSD 이전 OS Windows 11 23H2에서 25H2로 업그레이드 설치 방법은 ISO로 올렸다. 윈도우 10이 막바지라 도구 호환이 매끈치 않고, 공식 ‘설치 USB 만들기’가 10 환경에서 들쭉날쭉해 ISO가 더 안정적이었다. 프로그램과 설정을 많이 깔아둔 메인 장비라 이번엔 업그레이드 경로를 택했다. 결과적으로 주변장치와 컬러 프로파일, 런처류 설정을 다시 만질 일이 적어 시간을 꽤 아꼈다 내 환경에서 부딪힌 부분도 분명 있었다. 토렌트를 내려받는 중인데도 슬립으로 빠지는 문제는 예전 윈도우 11과 동일하게 재현됐다. 전원 옵션에서 디스플레이 끄기, 하드디스크 절전, 절전 모드를 전부 ‘사용 안 함’으로 바꾸고 네트워크 어댑터 전원 절약을 꺼도 간헐적으로 들어간다.  토렌트 앱의 ‘다운로드 중 시스템 절전 방지’를 켜고, powercfg /requests로 슬립을 막는 프로세스를 확인하니 빈도가 줄었다. 모던 스탠바이(S0)로 잡힌 보드라면 BIOS에서 관련 항목을 만져보는 것도 방법이었다.  구형 공유기의 간이 NAS는 탐색기에서 더 이상 바로 뜨지 않는다. SMB1이 보안상 막히면서 생기는 현상이라 억지로 되살리기보단 장비 펌웨어에서 SMB2 이상을 켜거나, FTP/HTTP 파일 서버로 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