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스플레이 픽셀 고정 vs 픽셀 사망, A/S 정책이 달라지는 이유
 디스플레이에서 가장 자주 발생하는 오류 중 하나가 ‘불량화소’다. 하지만 화면에 점이 하나 보인다고 해서 모두 같은 결함으로 취급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사에서는 이를 두 가지로 구분하며, 그 구분이 곧 A/S 결과에도 직결된다.  흔히 말하는 픽셀 고정(스턱픽셀)  과 픽셀 사망(데드픽셀)  이 바로 그것이다. 두 증상은 사용자 눈에는 비슷하게 보이지만, 내부적으로는 원인과 회복 가능성이 완전히 다르기 때문에 교환·무상수리 기준 역시 달라진다.  스턱픽셀은 픽셀이 한 가지 색상으로 ‘고정’된 상태다. 즉, 회로가 끊어진 것이 아니라 특정 신호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오류다.  다시 말해 픽셀 자체는 여전히 살아 있고, 신호만 비정상적으로 고정된 상태이기 때문에 일부 경우에는 소프트웨어 교정이나 빠른 주파수 빛 반응으로 회복되기도 한다. 대표적으로 JScreenFix, Dead Pixel Fixer 같은 HTML5 기반 픽셀 리프레시가 가능한 이유도 바로 이 원리 때문이다. 스마트폰에서도 비슷한 방식으로 깜빡임 기반 픽셀 교정 앱이 제공된다. 스턱픽셀은 “부분적 이상”이기 때문에 제조사 정책에서도 불량 인정 범위가 좁다.  반대로 데드픽셀은 회로가 완전히 단선되었거나, 발광 셀이 손상된 상태다. 이 경우 화면상에서 픽셀은 아예 꺼져 있으며, 어떤 신호를 보내도 바뀌지 않는다.  복구 가능성 자체가 없는 ‘물리적 사망’이기 때문에 자가 해결이나 픽셀 마사지 같은 방법으로는 되살릴 수 없다. 그래서 데드픽셀은 대부분의 제조사가 불량으로 인정하며 초기 교환 보증도 더 유연하게 적용한다. 간단히 말해 스턱픽셀은 고칠 수 있는 문제지만, 데드픽셀은 고칠 수 없기 때문에  A/S 정책이 다르게 적용되는 것이다.  이 차이는 모니터와 스마트폰 정책에도 그대로 반영된다.  예를 들어 모니터에서는 패널 교체 비용이 높기 때문에 스턱픽셀은 개수 기준 또는 특정 영역 발생 여부로만 교품을 허용한다. 반면 데드픽셀은 1개만 있어도 대부분 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