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11 25H2 업데이트 후 프리징 컴퓨터 멈춤 인터넷 없이 설치
윈도우11 25H2 업데이트 후 프리징·블랙스크린 해결과 인터넷 없이 설치하는 최신 방법
윈도우11 25H2 업그레이드 이후 발생하는 프리징, 블랙스크린, ntoskrnl 오류의 실제 원인과 해결법을 정리하고, 인터넷 연결 없이 설치하는 오프라인·우회 절차를 깔끔하게 안내합니다.
윈도우11 25H2업데이트 후 왜 갑자기 멈추고 재부팅될까
윈도우11 25H2는 누적 업데이트처럼 보이지만 내부적으로 전력 정책과 드라이버 초기화 순서가 달라졌습니다.
특히 Modern Standby 기반 정책이 먼저 적용되면서 GPU와 스토리지 드라이버가 재초기화되는 구간에서 타이밍이 어긋나면 시스템이 순간적으로 응답을 잃고 블랙스크린이나 프리징으로 이어집니다.
모니터 화면에는 IRQL_NOT_LESS_OR_EQUAL, ntoskrnl.exe와 같은 메시지가 나타나지만 커널 파일이 손상되었다기보다 드라이버·전력·저장장치 층에서 충돌이 발생해 커널이 마지막으로 쓰러진 결과에 가깝습니다.
게임은 잘 되는데 루미나르 네오, 프리미어 프로, 다빈치 리졸브 같은 GPU 가속 프로그램에서만 튄다면 순간 전력 스파이크와 드라이버 핸드셰이크 실패 가능성이 큽니다.
이런 현상은 파워서플라이 여유 전력이 모자라거나 NVMe SSD가 과열·지연 상태일 때 더 자주 나타납니다.
설치 단계에서 막히는 이유 네트워크 강제와 로컬 계정 숨김
윈도우11 25H2 설치는 네트워크 연결을 요구하지만 단순히 인터넷이 필요한 게 아니라 마이크로소프트 계정 인증 전제 하에 OOBE가 진행되도록 바뀌었습니다.
일단 유선 랜이 물려 있어도 초기 드라이버가 없어 인식이 지연되면 다음 화면으로 넘어가지 않고, 반대로 휴대폰 USB 테더링을 연결하면 연결 장치가 감지되는 순간 절차가 진행되기도 합니다. 핵심은 연결 품질이 아니라 인증 가능한 네트워크 장치의 존재입니다.
인터넷 없이 설치하는 최신 우회 절차 (25H2 기준)
실제 설치 환경에서 확실하게 통하는 방법은 이미지 단계에서 우회를 심거나, 설치 화면에서 숨겨진 명령으로 로컬 계정을 열어주는 두 가지입니다.
| 방법 | 핵심 포인트 | 언제 적합한가 | 
|---|---|---|
| Rufus로 설치 USB 제작 시 로컬 계정 허용 옵션 적용 | 설치 중 네트워크 요구 제거, 로컬 계정 화면으로 바로 이동 | 가장 간단하고 재현성이 높음. 초보자 권장 | 
| 설치 화면에서 OOBE\BYPASSNRO명령 실행 | Shift+F10로 CMD 실행 후 명령 입력, 자동 재부팅 후 오프라인 경로 활성화 | USB를 이미 만들었고 설치 중 막혔을 때 유용 | 
Rufus 방식 요약
공식 ISO를 내려받아 Rufus로 부팅 USB를 만들 때 ‘MS 계정 없이 로컬 계정 허용’, ‘네트워크 요구 제거’ 옵션을 활성화합니다. 이렇게 만든 USB로 부팅하면 네트워크 연결 여부와 관계없이 로컬 계정 생성이 가능합니다.
명령어 방식 요약
설치 중 네트워크 요구 화면에서 Shift+F10으로 명령 프롬프트를 열고 OOBE\BYPASSNRO를 입력해 실행합니다. 
시스템이 자동 재부팅되며 숨겨진 오프라인 설치 경로가 활성화됩니다. 25H2에서는 경고창이 완전히 나타난 다음 한 화면 더 넘긴 타이밍에 실행하면 안정적으로 적용됩니다.
설치 직후 안정화 루틴: 프리징·블랙스크린 줄이기
윈도우11 25H2 설치가 끝난 뒤 24~48시간 동안 윈도우는 백그라운드에서 인덱싱, 드라이버 재초기화, Modern Standby 적용 작업을 진행합니다.
이 구간에서 바로 고부하 프로그램을 돌리면 충돌 확률이 높습니다. 다음 순서로 안정화를 진행하면 재발률이 확실히 줄어듭니다.
드라이버 정리와 재설치
디스플레이 드라이버는 DDU로 깨끗하게 제거한 뒤 최신 버전으로 재설치합니다.
설치 직후 드라이버 위에 다시 덮어씌우는 것이 아니라 완전 정리 후 재설치가 포인트입니다.
전원 정책과 Modern Standby 조정
전원 옵션을 고성능으로 고정하고, 장치 관리자의 네트워크 어댑터·USB 루트 허브에서 절전 옵션을 해제합니다.
Modern Standby가 불안정하면 메인보드 BIOS에서 S3 슬립을 허용하는 설정이 있는지 확인하고, 없다면 절전 관련 OS 옵션을 단계적으로 끕니다.
Resize BAR / Above 4G Decoding 임시 오프
GPU 메모리 접근 최적화 기능이지만 25H2 초기 드라이버 세대에서 특정 보드·GPU 조합에선 충돌 빈도를 높이는 사례가 있습니다. 안정화가 끝나면 다시 켜서 성능을 확인합니다.
NVMe SSD 상태와 온도 확인
SMART 정보와 온도를 확인해 지연이 크게 발생하지 않는지 점검합니다. 써멀패드가 없는 보드라면 간단한 히트싱크만으로도 쓰로틀링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파워서플라이 여유 전력
GPU 가속 프로그램에서만 블랙스크린이 발생한다면 순간 전력 스파이크에 파워가 흔들리는 상황을 의심합니다. 여유 용량 150W 이상을 확보하면 체감적으로 안정화됩니다.
문제 원인별 빠른 해법 모음
게임은 정상인데 편집 프로그램에서만 멈춘다
편집 프로그램은 로딩 패턴이 일정하지 않아 순간 전력 피크가 큽니다.
드라이버 재설치, 전원 고정, Resize BAR 임시 해제, 파워 여유 확보 순으로 점검합니다.
설치가 네트워크 화면에서 넘어가지 않는다
연결 품질 문제가 아니라 MS 계정 인증 경로가 우선 전제된 구조 때문입니다. Rufus 옵션 USB 또는 OOBE\BYPASSNRO로 오프라인 경로를 엽니다.
업데이트 후 토렌트 중 절전으로 빠진다
Modern Standby 우선권 때문입니다. 전원 옵션 고성능, 네트워크 어댑터 절전 해제, 토렌트 앱에서 절전 방지 설정을 병행합니다.
스토어가 먹통이 됐다
wsreset으로 캐시 초기화 후 불가 시 스토어 패키지 재등록을 진행합니다. 빌드 전환을 여러 번 반복했다면 앱 저장소가 꼬였을 가능성이 큽니다.
FAQ
Q. SFC/DISM으로 복구했는데 왜 여전히 블루스크린이 뜨나요?
A. 시스템 파일 무결성은 복구되지만 드라이버 충돌과 전력 정책 문제는 해결하지 못합니다. 드라이버 정리, 전원 정책 조정, Modern Standby 완화가 필요합니다.
Q. 로컬 계정으로 설치하면 나중에 문제 생기나요?
A. 아닙니다. 설치 후 언제든 MS 계정으로 전환할 수 있습니다. 초기에 오프라인 설치가 필요한 경우에만 우회 절차를 쓰면 됩니다.
Q. 수리센터 비용은 어느 정도 예상해야 하나요?
A. 소프트웨어 점검 2~3만원, 포맷 5~8만원이 일반적입니다. 램·파워·SSD 교체가 필요하면 부품 비용에 따라 8~15만원 이상이 될 수 있습니다.
정리: 설치와 안정화는 한 세트
윈도우11 25H2는 설치만 통과하면 끝나는 업데이트가 아닙니다. 오프라인 설치·로컬 계정 우회로 네트워크 강제 구간을 넘기고, 드라이버와 전력 정책을 초기화 단계에서 다듬어주는 과정까지 거쳐야 장시간의 프리징과 블랙스크린을 피할 수 있습니다.
다음에 대규모 업데이트가 예정되어 있다면 설치 전에 이미지 백업을 만들어두고, 프로그램 카탈로그(루미나르 네오·라이트룸 등)는 시스템 백업과 별도로 동기화해두면 복구 속도와 성공률이 크게 올라갑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