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트라바 국내 서비스 종료 이후 아이폰 설치 방법
스트라바가 한국에서 내려간 뒤 아이폰에 다시 설치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
국내 앱스토어에서 스트라바(Strava)가 보이지 않아 설치를 포기하신 분들이 많으셨죠. 저도 국가/지역 변경을 시도했지만 최신 정책 때문인지 메뉴가 비활성화되어 막혔고, 결국 다른 길을 찾아 아이폰에 정상 설치까지 마쳤습니다.
여기서는 미국용 Apple ID를 활용해 설치하고, 설치 후에는 다시 한국 계정으로 깔끔하게 돌아오는 방법까지 자세히 안내드리겠습니다.
검색이 막힌 이유와 가장 현실적인 해법
국내 서비스 종료로 한국 앱스토어에서는 스트라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과거처럼 국가를 바꾸는 방식은 구독이나 결제 정보 때문에 막히는 경우가 잦고 메뉴 자체가 회색으로 비활성화되기도 합니다. 그래서 앱스토어 설정을 억지로 건드리기보다 미국용 Apple ID를 하나 만들어 잠시 로그인해 설치하는 방식이 가장 간단하고 안전했습니다.
실제로 성공했던 설치 순서
첫째, 웹에서 새로운 미국 Apple ID를 만듭니다.
계정 생성 화면에서 국가를 United States로 지정하시고, 결제 정보는 가능하면 ‘없음’으로 설정합니다. 주소와 우편번호는 미국 형식으로 빠짐없이 입력해 주세요.
둘째, 아이폰 설정의 ‘미디어 및 구입 항목’에서 로그아웃합니다.
iCloud 메인 계정은 그대로 둔 채, 미디어 계정만 바꾸는 점이 핵심입니다. 이렇게 하면 사진과 메모, 기존 앱들은 그대로 유지됩니다.
셋째, 같은 위치에서 방금 만든 미국 Apple ID로 로그인합니다.
로그인 직후 앱스토어는 미국 스토어로 열리고 스트라바가 정상적으로 검색됩니다.
넷째, 앱스토어에서 Strava를 검색해 설치합니다. 설치가 완료되면 실행까지 한 번 열어 정상 동작을 확인해 주세요.
다섯째, 다시 ‘미디어 및 구입 항목’에서 로그아웃한 뒤 원래 쓰던 한국 계정으로 로그인합니다. 설치된 스트라바 앱은 삭제되지 않고 그대로 남아 사용 가능합니다.
미국 Apple ID 생성 과정을 조금 더 디테일하게
브라우저에서 계정 생성 페이지를 열면 이메일과 비밀번호, 보안 질문을 설정하는 단계가 이어집니다.
국가를 United States로 지정한 뒤 약관에 동의하고 이메일 인증을 마치면 기본 계정이 준비됩니다.
이어서 결제 정보가 필요하면 결제 방법을 ‘없음’으로 두고, 청구 주소는 미국 주소 형식으로 모두 채워 주세요. 국가/지역 변경이 막히는 이유가 기존 구독, 가족 공유, 잔액 등과 얽혀 있는 경우가 많은데, 그래서 새 미국 ID를 만드는 편이 훨씬 깔끔했습니다.
설치 후 업데이트와 접속 문제를 줄이는 팁
업데이트가 보이지 않으면 잠시 미국 미디어 계정으로 다시 로그인해 앱스토어에서 스트라바 업데이트를 확인하신 뒤, 완료하면 곧바로 한국 계정으로 돌아오셔도 됩니다.
설치 버튼이 회색으로 비활성화될 땐 네트워크를 와이파이에서 셀룰러로, 또는 그 반대로 바꿔 보시고 앱스토어를 완전히 종료 후 재실행하거나 기기를 재부팅하면 해결되는 경우가 잦았습니다.
결제 정보 경고가 반복되면 웹에서 결제·주소 정보를 먼저 정리한 다음 다시 시도하시면 안정적으로 진행됩니다.
앱이 갑자기 실행되지 않을 때는 저장공간과 iOS 버전을 확인하고, 필요하다면 로그인을 기억한 상태에서 재설치를 고려해 주세요.
참고로 안드로이드에서 시도할 만한 방법
안드로이드는 Store Redirect 같은 유틸로 국가를 United States로 임시 전환해 플레이 스토어에서 스트라바를 설치한 뒤 다시 Korea로 되돌리는 방식이 널리 쓰입니다. 기기와 계정, 결제 상태에 따라 동작이 다를 수 있어 플레이 스토어 캐시를 먼저 지우고 시도하면 성공률이 높습니다.
정리하며
한국 앱스토어에서 스트라바가 내려간 뒤에도 미국 Apple ID로 잠시 로그인한 다음 설치하고, 설치 후에는 한국 계정으로 원복하는 방식이 가장 단순한거 같습니다.
참고로 여기서 핵심은 iCloud가 아니라 미디어 계정만 바꾸는 것이고, 이렇게 진행하면 기존 데이터는 그대로 유지됩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