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 Hosts 파일 수정 방법 및 오류 해결법 총정리: 권한 문제부터 보안 감지까지

 윈도우에서 특정 웹사이트를 차단하거나 내부 테스트 환경을 구성할 때 자주 사용하는 HOSTS 파일. 이 파일 하나만 잘 설정해도 도메인 매핑 문제나 PLM 소프트웨어의 라이선스 연결, 네트워크 설정 오류 등을 손쉽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막상 수정하려고 하면 ‘파일 권한 없음’이나 ‘저장되지 않음’ 같은 오류 메시지가 발생하거나, 수정을 해도 재부팅 시 다시 되돌아가는 현상으로 당황스러운 상황이 생기기도 하죠. 이러한 hosts 파일 관련 오류와 증상들에 대해 하나하나 짚어보면서, 안전하고 정확하게 수정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hosts 파일은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도메인 주소와 IP를 직접 연결해주는 기능을 합니다. 


기본적으로 DNS 서버가 하던 일을 로컬에서 처리할 수 있게 도와주는 파일이며, 이 파일을 수정하면 특정 사이트를 차단하거나 내부 네트워크 서버를 연결하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HOSTS 주요 위치

  • 경로: C:\Windows\System32\drivers\etc

  • 파일명: hosts

  • 수정 조건: 관리자 권한 필수

자주 발생하는 증상 및 오류 메시지 예시

  • 이 파일을 열 수 있는 권한이 없습니다

  • 저장할 수 없습니다. 관리자 권한을 요청하세요

  • hosts 파일이 변경되었다고 계속 알림이 뜹니다

  • hosts 파일이 .txt 확장자로 저장되었습니다

  • 127.0.0.1 updates.nprotect.net 같은 알 수 없는 IP 기록

  • TCP 12753 포트에서 이상한 통신이 발생합니다

이러한 오류는 대부분 권한 부족, 보안 프로그램의 실시간 보호, 혹은 시스템의 자동 복구 설정 때문입니다. 



수정하려면 반드시 메모장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하고, 저장 시엔 모든 파일 형식으로 선택하여 .txt가 붙지 않게 주의해야 합니다.

수정이 저장되지 않는 경우 해결 방법

  • 바탕화면에 hosts 파일을 저장한 뒤 원본 파일을 덮어쓰기

  • 보안 탭에서 사용자 계정에 쓰기, 수정, 실행 권한 부여

  • 윈도우 실시간 보호 및 백신 프로그램의 감시 기능 일시 해제

복구 알림이 계속 반복될 때

최근에는 V3, 알약, 윈도우 디펜더 등에서 hosts 파일의 변경을 지속적으로 감지해, 사용자가 직접 수정한 내용도 ‘의심 파일’로 간주해 복원 여부를 묻는 팝업이 반복될 수 있습니다. 

재부팅 후에도 같은 메시지가 반복된다면 아래 조치를 취해보세요.

  • 백신 프로그램에서 예외 항목 설정 또는 HOSTS 감지 기능 해제

  • 변경한 hosts 파일을 백업해두고 재부팅 후 덮어쓰기

  • 윈도우 디펜더의 ‘제한된 폴더 접근 보호’ 기능 끄기

  • 실시간 보호 항목을 잠시 비활성화 후 다시 활성화

실제 바이러스인지 확인하고 싶다면?

감염이 걱정된다면 마이크로소프트의 Sysinternals 유틸리티에서 다음 도구를 활용해보세요:

  • TCPView: 12753 포트 등에서 어떤 앱이 작동 중인지 확인

  • Process Explorer: 실행 중인 프로세스 리스트에서 VirusTotal 연결 기능을 활용

    • 상단 메뉴 → Options → Verify Image Signatures, Check VirusTotal.com 활성화

    • 붉은색 경고가 있는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악성 가능성 점검

의심되는 프로세스가 없다면 단순 보안 감지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127.0.0.1 또는 localhost 등 로컬 루프백 주소만 표시된 경우라면 위험 요소는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hosts 파일의 주요 활용 예시

  • 지멘스 Teamcenter 같은 PLM 시스템의 라이선스 서버 연결

  • 로컬 개발 환경에서 도메인 리디렉션 설정

  • 특정 광고 서버나 업데이트 서버 차단

  • DNS 장애 시 수동 도메인 매핑 대체용

마무리하며

hosts 파일은 단순한 텍스트지만, 시스템의 네트워크 작동 방식에 큰 영향을 주는 중요한 파일입니다. 

불필요하게 건드리는 것은 위험하지만, 정확한 목적과 이해를 가지고 수정하면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 항상 백업은 필수이며, 수정을 반복하는 경우 자동화 도구(예: SwitchHosts!)의 사용도 고려해볼 만합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삼성 제품 시리얼번호로 제조일자 확인하는 방법

📱 아이폰 16 DFU 공장 초기화 및 벽돌 복구 가이드

NX 3D CAD 중량 구하는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