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A/S정책인 게시물 표시

픽셀 고정 vs 픽셀 사망, A/S 정책이 달라지는 이유

  모니터나 스마트폰 화면에 아주 작은 점이 남아 있는 것을 보게 되면 대부분 ‘불량화소’로 생각합니다. 하지만 제조사에서는 이 문제를 두 가지로 나누어 다르게 판단합니다. 바로 픽셀 고정(스턱픽셀) 과 픽셀 사망(데드픽셀) 입니다.  둘 다 화면에 점이 생긴다는 점에서는 같지만, 동작 원리와 교환 가능 여부에서 큰 차이가 있기 때문에 실제 A/S 정책도 달라질 수밖에 없습니다. 참고 : 카메라 불량화소 검사 죽은픽셀 핫픽셀 차이점 및 수리방법 참고 : 아이폰 아이패드 불량화소 액정 빛샘 잔상 테스트 픽셀 고정은 회로가 정상적으로 살아 있으나 특정 색 신호가 그대로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는 상태입니다.  예를 들어 화면을 움직여도 항상 초록색이나 빨간색으로만 빛나는 점이 하나 보이는 경우가 대표적입니다. 이 유형은 패널 내부 소자 연결이 끊어진 것이 아니어서, 신호 교정이나 간단한 자극으로 개선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래서 제조사 입장에서는 ‘치유 가능 영역’으로 분류되며 대부분 교품 기준이 더 엄격하거나, 아예 불량으로 인정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반면 픽셀 사망은 회로 단선이나 발광 소자의 손상이 이미 고정되어 신호를 보내도 반응하지 않는 상태입니다.  화면상에서는 검은 점으로 고정되어 보이거나, 주변 밝기에 상관없이 아예 꺼진 것처럼 나타납니다. 이 경우는 사용자 자가복구가 불가능하고 패널 일부 수리가 아닌 패널 단위 교체가 필요하기 때문에 제조사도 ‘결함’으로 인정합니다.  그래서 데드픽셀은 상대적으로 교환 기준이 느슨하게 설정되어 있고, 대부분 브랜드에서 1개만 발견되어도 교품을 진행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A/S 정책이 달라지는 이유는 단순한 스펙 문제가 아니라 원인 자체가 “복구 가능한 고장인가, 물리적 단선인가”의 차이 이기 때문입니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두 점 모두 똑같이 불편하지만, 제조사 기준에서는 수리 방식과 비용 구조가 달라지기 때문에 처리 기준 역시 달라지게 됩니다....

스턱픽셀 vs 데드픽셀, 복구 가능한 문제는 무엇인가?

 모니터나 스마트폰 화면에서 아주 작은 점 하나가 이상하게 남아 있거나 계속 같은 색으로 빛난다면, 그 픽셀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상태입니다. 이때 흔히 ‘불량화소’라고 부르지만, 실제로는 스턱픽셀(고정픽셀) 과 데드픽셀(죽은픽셀) 두 가지로 나뉘며, 이 둘은 원인과 해결 가능성에서 큰 차이가 있습니다. 스턱픽셀은 회로가 살아 있지만 특정 색상 신호가 고정된 상태 라 비교적 복구 가능성이 있습니다. 픽셀 리프레시, 노이즈 플래시, 압력 교정 등의 방법으로 개선되는 사례가 많기 때문에 사용자가 직접 시도할 수 있는 영역이기도 합니다. 반면 데드픽셀은 전기 신호 자체가 끊어진 ‘물리적 손상’에 가깝습니다.  참고 : 카메라 불량화소 검사 죽은픽셀 핫픽셀 차이점 및 수리방법 참고 : 아이폰 아이패드 불량화소 액정 빛샘 잔상 테스트 이 경우 화면에서 픽셀이 아예 꺼진 채 검게 남아 보이고, 원리적으로는 복구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교환·패널 교체 외에는 해결 수단이 없습니다. 그래서 많은 제조사가 데드픽셀은 엄격한 기준으로 교환해주지만, 스턱픽셀은 개수·영역·사용 조건에 따라 교환 여부가 달라지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결국 “불량화소를 발견했을 때 교환이 가능한가?” 라는 질문은 그 점이 스턱픽셀이냐 데드픽셀이냐 에 따라 달라지고, 복구 가능성 또한 정반대입니다. 이 차이를 제대로 이해하면 자가 수리를 시도할지, 즉시 교환 요청을 해야 할지 올바르게 판단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