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픽셀복구인 게시물 표시

스턱픽셀 vs 데드픽셀, 복구 가능한 문제는 무엇인가?

 모니터나 스마트폰 화면에서 아주 작은 점 하나가 이상하게 남아 있거나 계속 같은 색으로 빛난다면, 그 픽셀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상태입니다. 이때 흔히 ‘불량화소’라고 부르지만, 실제로는 스턱픽셀(고정픽셀) 과 데드픽셀(죽은픽셀) 두 가지로 나뉘며, 이 둘은 원인과 해결 가능성에서 큰 차이가 있습니다. 스턱픽셀은 회로가 살아 있지만 특정 색상 신호가 고정된 상태 라 비교적 복구 가능성이 있습니다. 픽셀 리프레시, 노이즈 플래시, 압력 교정 등의 방법으로 개선되는 사례가 많기 때문에 사용자가 직접 시도할 수 있는 영역이기도 합니다. 반면 데드픽셀은 전기 신호 자체가 끊어진 ‘물리적 손상’에 가깝습니다.  참고 : 카메라 불량화소 검사 죽은픽셀 핫픽셀 차이점 및 수리방법 참고 : 아이폰 아이패드 불량화소 액정 빛샘 잔상 테스트 이 경우 화면에서 픽셀이 아예 꺼진 채 검게 남아 보이고, 원리적으로는 복구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교환·패널 교체 외에는 해결 수단이 없습니다. 그래서 많은 제조사가 데드픽셀은 엄격한 기준으로 교환해주지만, 스턱픽셀은 개수·영역·사용 조건에 따라 교환 여부가 달라지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결국 “불량화소를 발견했을 때 교환이 가능한가?” 라는 질문은 그 점이 스턱픽셀이냐 데드픽셀이냐 에 따라 달라지고, 복구 가능성 또한 정반대입니다. 이 차이를 제대로 이해하면 자가 수리를 시도할지, 즉시 교환 요청을 해야 할지 올바르게 판단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