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애플페이인 게시물 표시

아이폰 애플페이 K패스 연동 및 결제 추가 혜택 총정리

이미지
 아이폰에도 드디어 교통카드 선택지가 넓어지면서 애플페이로 K패스를 쓸 수 있게 됐다는 소식이 올라오자마자 실제로 바로 등록해서 며칠 사용해봤는데 생각보다 과정이 길지는 않았습니다.  애플페이에 교통카드를 추가해서 쓰는 건 익숙해도 K패스를 연동하려면 모바일티머니가 필요하다는 점이 헷갈릴 수 있는데, 이 부분만 이해하면 오히려 혜택은 예전보다 더 좋아지는 게 포인트였습니다.  예전엔 실물카드 기반으로 K패스를 쓰는 분들이 많았지만 지금은 모바일티머니에 K패스를 얹고 애플페이에서 교통카드처럼 쓰는 방식이라 실물 없이도 바로 태깅이 가능해지고, 거기에 모바일티머니 전용 적립까지 더해져서 체감 혜택이 확실히 커졌습니다. 먼저 모바일티머니 발급이 선행돼야 애플페이에서 K패스를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모바일티머니는 기본적으로 선불형이라 충전 후 이용하는 방식이고, 충전해둔 잔액에서 K패스 이용 요금이 빠져나가는 구조라서 예전 카드 자동출금 방식과는 느낌이 조금 다릅니다.  대신 선불형이라 충전 타이밍만 잘 관리하면 아이폰 교통카드처럼 바로 통과되고, 애플페이에서 익스프레스 모드를 적용하면 잠금해제 없이 인식돼 훨씬 편해집니다.  특히 지갑을 따로 꺼낼 필요가 없으니 교통 이용 환경만 보면 모바일티머니 기반 K패스가 실사용 측면에서 꽤 큰 장점이 느껴집니다. 모바일티머니를 발급한 다음 케이패스 앱에서 기존 카드 대신 모바일티머니를 교통카드로 지정해 주는 과정이 필요한데, 이 단계에서 대부분 “카드 추가만 하면 바로 끝인가?”  하고 넘기다가 실제 적용이 안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케이패스 앱 오른쪽 상단 메뉴에서 내 카드 → 카드 변경 및 이력 → 유효성 체크 단계까지 거쳐야 실제로 오늘 날짜로 등록이 갱신되며, 이렇게 해야 애플페이에서도 K패스 요금제가 정상 인식됩니다.  이때 애플페이에 추가한 아이폰 교통카드 가 모바일티머니인지 다시 한번 확인해 두면 알림 누락이나 충전 오류를 미리...

일본대중교통 아이폰 애플페이 스이카 교통카드 충전 Tip

아이폰 유저라면 일본에서 스이카 교통카드 이렇게 쓰세요 아이폰 사용자라면 일본 여행 시 애플페이(Apple Pay)에 스이카(Suica) 교통카드 를 등록해두는 것만으로 지하철, 버스, 편의점, 자판기까지 손쉽게 결제할 수 있습니다. 우선 제가 직접 사용해본 결과, 교통카드 기능은 익스프레스 교통카드 로 설정해두면 별도의 인증 없이 단말기에 아이폰을 가져다 대는 것만으로도 바로 인식되어 매우 간편했습니다. 오사카 지하철에서 완벽 작동 난바(Namba)역에서 우메다(Umeda)로 이동하는 미도스지선 에서도 스이카 태깅은 문제없이 작동했습니다. 별도의 설정이나 애플페이 호출 없이 단순 태깅만으로 통과가 가능했습니다. 일반 교통카드 앱과 달리, 스이카는 IC 결제 단말기를 사용하는 대부분의 장소에서 자동 인식 되므로 지정된 단말기에서만 작동하는 일부 결제 앱보다 훨씬 활용 범위가 넓습니다 . 기차와 버스에서도 동일하게 지원 우메다에서 다니마치선 을 타고 덴마바시까지 이동할 때, 그리고 도카이도·산요선 교토 역 앞에서 기요미즈데라 방면 206번 시내버스 에 탑승할 때도 스이카 한 번의 태깅으로 간단히 결제가 완료되었습니다. 편의점과 자판기 결제까지 OK 세븐일레븐에서 음료 구매 시에는 점원에게 “스이카 결제” 라고 알린 후, 애플페이 스이카 카드를 활성화(사이드 버튼 더블 클릭) 한 상태에서 단말기에 태깅하면 바로 결제가 진행됩니다. 코인락커 이용 시에도 700엔 결제가 스이카로 가능했고, 자판기에서는 170엔짜리 커피 구매도 무리 없이 성공했습니다. 물품 선택 → 스이카 버튼 선택 → 애플페이 스이카 활성화 → 태깅 순서로 진행하면 됩니다. 스이카는 오사카에서도 문제없이 작동합니다 스이카는 도쿄 외 지역에서도 작동하며, 오사카 지역 이코카만 사용 가능하다는 오해는 사실과 다릅니다 . 익스프레스 교통카드 설정 후에는 추가 인증 없이 태깅만으로 지하철, 버스, JR 노선까지 모두 이용 가능 합니다. 도쿄·오사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