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아파트분양인 게시물 표시

제로에너지 건축물 절감효과 얼마나? 의무화 단계별 정리

제로에너지 건축물, 미래 주거의 표준으로 자리잡다 해마다 이어지는 폭염과 한파, 전력 수요 증가, 그리고 탄소중립 시대의 요구는 건축물의 패러다임을 바꾸고 있다.  단순히 집을 짓고 사용하는 단계를 넘어, 건물이 에너지를 얼마나 효율적으로 쓰고 스스로 얼마나 생산할 수 있는지가 중요한 경쟁력이 되고 있다. 이런 흐름 속에서 ‘제로에너지 건축물(ZEB)’은 더 이상 실험적 시도가 아니라 공공과 민간 모두가 따라야 할 표준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제로에너지 건축물의 개념과 원리 제로에너지 건축물이란 건물의 전체 에너지 소비를 최대한 줄이고, 동시에 태양광·지열 같은 신재생 에너지를 활용해 건물에서 필요한 에너지의 상당 부분을 스스로 충당하는 건축물이다. 목표는 에너지 소비량과 생산량을 같게 만들어 ‘순제로’에 가까워지는 것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크게 두 가지 접근 방식을 사용한다.  첫째, 패시브 설계 는 건축물 자체의 성능을 높이는 방식이다. 두꺼운 고효율 단열재, 삼중 유리창, 기밀 시공 등을 통해 여름에는 외부 열이 들어오는 것을 막고, 겨울에는 내부 열이 빠져나가지 않도록 한다. 건물의 배치나 창문의 방향을 고려해 햇빛과 바람을 자연스럽게 활용하는 것도 패시브 설계에 포함된다.    둘째, 액티브 시스템 은 신재생 에너지 설비를 직접 도입하는 방식이다. 지붕에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거나, 지열 히트펌프, 연료전지, 풍력 발전을 활용해 건물이 스스로 전기를 생산한다.  여기에 환기 설비, 스마트 조명, 고효율 냉난방 시스템 같은 기술을 접목하면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이고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의무화의 확대와 단계별 적용 처음 제로에너지 인증은 공공건축물에서 시작됐다.  2020년부터 연면적 1000㎡ 이상 공공 건축물은 반드시 5등급 이상 인증을 받아야 했고, 2023년부터는 그 기준이 500㎡로 확대됐다. 덕분에 학교, 도서관, 공공청사 등...